
한국인 근로시간은 2000년 이후 감소하다 최근 다시 증가했다.[사진=이형석 기자]
24일(현지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인 근로시간은 연간 기준으로 지난 2000년 2512시간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지속해 2011년 2090시간까지 낮아졌다.
이는 2000년대 들어 한국의 역대 정부가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실업난 해소와 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 등을 위해 한국인 근로시간을 단축하는 정책을 시행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인 근로시간은 2012년 2163시간으로 증가했고 지난해에도 같은 수치를 기록했다.
실제로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한국 실업률은 2009년 3.65%에서 2010년 3.73%로 상승했지만 2011년 3.41%, 2013년 3.13%로 하락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한국인 근로시간은 OECD 회원국 중 멕시코 다음으로 길었다. 멕시코의 근로시간은 2237시간이었다.
한국인 근로시간은 OECD 회원국 평균 근로시간 1770시간보다 393시간, 근로시간이 가장 짧은 네덜란드의 1380시간보다는 783시간이나 길었다.
OECD 전체 34개 회원국 중 칠레(2015), 그리스(2037), 한국(2163), 멕시코(2237)를 빼고는 모두 근로시간이 2000시간이 안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