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장기전세주택 공급량 역대 최저… 전년 대비 86%↓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올해 서울시 장기전세주택(시프트) 공급량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 공급되는 장기전세주택은 842가구 규모로 지난해(6065가구)에 비해 86%나 감소했다. 이 중 497가구(59.03%)가 공공택지 물량이다. 공공택지의 물량 부족이 곧 시프트 물량의 급감 현상으로 연결되고 있다.

2007년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도입했던 시프트는 현재까지 총 27차에 걸쳐 2만6000여 가구가 공급됐다. 주변 전세가격의 80% 수준에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지난 6월 410가구 공급에 총 5803명이 접수해 평균 14.2대1의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서울지역의 공공택지 개발 여력이 크게 줄면서 신규 공급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과거 연도별로 공공택지에 공급된 시프트 물량 비중을 보면 △2007년 97.32%(1962가구) △2008년 89.68%(2354가구) △2009년 69.97%(2269가구) △2010년 98.70%(7271가구) △2011년 97.17%(3429가구) △2012년 84.35%(706가구) △2013년 88.01%(5338가구)로 높은 수준을 이어가다가 올해 59%(497가구)로 급감했다.

지난해에는 강서구 마곡지구 신규물량의 영향으로 6065가구가 공급됐던 반면 올해는 공공택지 물량이 줄어들면서 시프트 공급량도 희소해졌다. 내년 이후에는 공급량이 더 줄어들 가능성도 제기된다.

윤지해 부동산114 선임연구원은 "시프트 신규공급은 물론 기존에 공급된 공공택지의 재계약물량에 대한 틈새시장도 공략할 필요가 있다"며 "일반적인 전세처럼 2년 단위로 재계약을 하기 때문에 공가에 의한 재계약 물량도 다수 나올 수 있어 틈틈이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