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주택 평균 전세가격은 2억106만원으로, 이 은행이 통계 조사를 시작한 2011년 6월 이후 처음 2억원을 돌파했다. 이는 조사 이래 최고가다.
수도권 주택 평균 전세가격은 올해 들어 1075만원(5.7%) 올랐다. 2년 전(2012년 9월)과 비교하면 2414만원(13.6%)이나 뛰었다.
전세 물량 부족에 따른 이런 상승세는 지역별로는 서울이,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이끌었다.
경기는 올해 951만원(5.7%), 2년 전보다 2563만원(17.1%) 뛰었고, 인천은 올해 881만원(8.7%), 2년 새 1906만원(21.0%) 상승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아파트와 단독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은 각각 2억2394만원, 2억2370만원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연립주택은 1억928만원으로 아파트·단독주택보다 두 배가량 낮았다.
아파트 평균 전세가은 올 들어 1373만원(6.5%), 2년 새 3378만원(17.8%) 올라 주택 유형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단독주택은 올해 676만원(3.1%), 2년 새 1228만원(5.8%) 뛰었고, 연립주택은 같은 기간 각각 406만원(3.9%), 1186만원(12.2%) 올랐다.
서울의 경우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격은 3억1115만원, 단독주택은 2억6713만원, 연립주택은 1억4356만원으로 유형별로 가격 차이가 컸다.
경기는 단독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이 1억9476만원으로 아파트(1억8790만원)보다 높았고, 연립주택(8690만원)과 비교하면 배 이상 비쌌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최근 전세가격의 급속한 상승은 주택 전체 공급 부족이 아니라 전세 물건 공급 부족에서 비롯되고 있다"며 "집주인들이 전세를 월세로 돌리는 속도가 빨라진 것이 하나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경기는 단독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이 1억9476만원으로 아파트(1억8790만원)보다 높았고, 연립주택(8690만원)과 비교하면 배 이상 비쌌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최근 전세가격의 급속한 상승은 주택 전체 공급 부족이 아니라 전세 물건 공급 부족에서 비롯되고 있다"며 "집주인들이 전세를 월세로 돌리는 속도가 빨라진 것이 하나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도권에서 저렴한 전세 주택들이 빠르게 사라지면서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도 따라 커지고 있어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