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0.3% 증가했다. 7월에 0.3% 증가한 뒤 8~9월 각각 0.6%, 0.8% 감소한 데 이어 3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전체 산업생산 상승에도 불구하고 광공업생산은 전월에 비해 1.6% 감소했다. 8월에는 -3.8%, 9월에는 0%를 기록했다. 생산감소는 반도체·부품(-2.5%), 전기장비(-6.4%) 부문 영향을 받았다.
제조업 생산은 8월 -3.8%, 9월 -0.2%에 이어 3개월 연속 감소세다. 생산자 제품 출하는 자동차(0.7%), 화학제품(0.6%) 등에서 늘고 1차금속(-3.1%), 영상음향통신(-7.3%) 등에서는 줄어 전체적으로 1.7% 떨어졌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한 달 전보다 0.1%, 1년 전보다 1.5% 각각 늘었다. 제조업 가동률지수는 자동차(1.6%), 종이제품(0.8%) 등에서 증가했지만 1차금속(-3.5%), 기타운송장비(-7.2%) 등에 줄어 전달보다 2.1% 줄었다.
소비는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했다. 10월 소매판매액지수는 지난달보다 0.4% 줄어 9월(-3.2%) 감소세를 이었갔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0으로 0.3포인트 떨어졌다. 앞으로 경기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올라 103.3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서비스업이 늘었지만 제조업이 3개월 연속 감소를 보이는 등 전반적으로 회복세가 미약하다”며 “자동차 파업 등으로 생산에 차질이 있었고 휴대전화 판매 등 소비가 감소한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