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시내버스 파업대비 비상수송대책 마련

  • 4일 야간시간대 시내버스 노,사간 임금협상 결렬시 시행, 시민불편 최소화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부산시내버스 노조가 임금협상이 결렬되면 5일 첫 차부터 전면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예고함에 따라, 부산 시내버스는 최악의 경우 내일 04시부터 137개 노선 2517대의 시내버스가 전면 운행중단사태를 맞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대체교통수단 확보 등 시민교통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고 파업 시 즉시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전세버스를 비롯하여 도시철도, 경전철, 마을버스, 택시 등 시내버스 외의 모든 교통수단을 총 동원하여 파업 시에 시민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운영기관과 협의를 완료하고 전세버스 544대(오전 272대, 오후 272대)를 임시비상노선에 탄력적으로 투입하여 도시철도역까지 운행, 도시철도 82회 증편 운행, 마을버스 배차간격 단축 및 예비차(59대) 투입, 택시부제 해제(6,400대), 공공기관, 초,중,고교, 주요 기업체 등 시차제 출근 강력 요청, 택시나 자가용 승용차를 이용하는 시민의 편의를 위한 ‘승용차 요일제 해제’ 및 버스전용차로 운행도 일시적으로 허용한다.

뿐만 아니라 시는 행정부시장을 본부장으로 하고 각 유관기관, 단체가 참가하는 비상수송대책본부 (구, 군 자체 비상대책본부)를 구성하여 파업 해제시까지 24시간 가동하고 파업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대체교통수단이 원활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부산시 홍기호 교통국장은 “시내버스 노․사간 협상이 원만한 합의로 해결되길 바라지만, 만약 파업에 이를 경우 우리 시에서는 파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수송대책 준비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혹시 시내버스를 이용하지 못하시더라도 다른 대체수단을 미리 아시고 대비하는 등 시민여러분의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