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교육청]
서울교육청은 ‘토론이 있는 교직원 회의’가 의사 결정과 권한에 소통의 장으로, 지시와 전달위주의 수동적 공간에서 교사의 능동적 자기결정을 하는 자율적 공간으로 자리잡고, 이를 통해 교사들의 자존감과 자발성을 높여 학교혁신의 주체로 나서게 하자는 취지에서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궁극적으로는 교사가 주체가 돼 수업 혁신, 생활교육 혁신, 교육과정 혁신 등을 추진하고 아이들의 미래핵심역량을 기르는 전인교육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토론이 있는 교직원 회의에서 논의할 주제 선정은 학교 구성원의 필요와 요구가 담긴 것에서부터 시작하되 본질적인 차원의 주제와 내용까지 가능하도록 권장할 예정이다.
형태는 학교 현장의 실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자연스럽게 지원할 예정이다.
학년부 체제가 활성화된 학교들에서는 학년부 중심으로, 교사 전체의 모임이 활발한 학교는 혁신학교의 다모임처럼, 부장교사 회의가 활성화된 학교에서는 부장회의 중심으로 가되, 이외 다양한 형태의 회의체를 활성화해 유․초․중등학교에서도 대학처럼 교직원 회의가 중층적으로 운영되는 모델을 권장할 예정이다.
학교 여건에 따라 진행 속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변화가 점진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단계적 경로로 진행할 계획이다.
1단계는 준비기로, 모든 학교가 토론을 위한 바탕을 마련하도록 하는데 주력하고 교육청은 운영 도움자료를 제작․배부하면서 우수 사례를 발굴 전파하는 한편 학교는 준비를 위해 학교별‘(가칭)교직원회의 운영팀’을 구성․운영 하도록 한다.
2단계는 발전기로, 교직원들이 회의 필요성을 알고 재미를 붙이면서 활발하게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교육청은 홍보와 컨설팅을 실시하고, 학교는 회의 문화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면서 대부분 교육활동을 교직원회의에서 논의하도록 할 예정이다.
3단계는 정착기로 운영 시스템이 정착되도록 교육청은 표준을 제시하고 제도화를 위한 법적인 검토를 하고 학교는 민주적 회의가 가능한학교 문화를 정착시키면서 학교별 교직원회의 운영규정을 제정해 학교가 민주적으로 운영되도록 할 계획이다.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노력도 강화한다.
학교 각종 행정 업무를 과감하게 덜어내기 위해 교육청은 교육정책 정비를 포함한 업무다이어트를 지속 추진하고 12월까지 발표 예정인 2016 학교업무정상화 종합 계획의 우선 조치 3가지를 11월까지 추진할 예정이다.
10월까지 위임전결 확대 및 전시성 행사 정비, 법정장부 외 장부간소화, 학교에 설치된 각종 위원회 통․폐합을 위한 추진 방법 및 절차를 마련해 10월중으로 학교에 보내고 11월 중 학교가 자체 추진하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교육청은 12월까지 2016 학교업무정상화 종합 방안을 수립해 교사들의 행정 업무를 덜어내고 토론이 있는 교직원회의를 활성화하면서 교사들이 수업과 생활교육, 상담 등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교육청은 ‘학교혁신은 관계혁신’이라는 슬로건을 정식화해 방식을 지속적으로 바꾸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교육청과 학교, 학교장과 교사, 교사와 교사,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기존의 수직적․폐쇄적․일방향적인 방식에서 수평적․개방적․쌍방향적 방식으로 바꿔 교사의 자발성․참여․소통을 높여 교원의 전문 학습 공동체를 실질화하고 학생들의 행복한 생활 공동체 활성화를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