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해·치유재단' 비판 여론 확산… 정대협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다더니 대체 누굴 위한 합의인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9-07 14: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조득균 기자 = 지난 1일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설립된 '화해·치유재단' 계좌로 일본 정부의 출연금 10억엔(한화로 108억여원)이 입금됐지만, 피해자들의 의견수렴 과정에서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다.  

앞서 언론을 통해 '화해·치유재단'이 일본의 출연금 10억엔을 피해자들에게 현금으로 분할 지급한다고 보도되자,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90) 할머니는 기자회견을 통해 강력하게 반발했다. 일각에선 "피해 할머니들의 반대 목소리에도 불구 돈으로만 해결하려 한다"고 날선 비판을 했다. 

김 할머니는 "일본 측의 위로금을 받은 것 자체가 정부는 피해 할머니들을 팔아먹은 행위"라며 "우리가 원하는 것은 돈이 아니라 일본 정부 측의 공식적인 사과를 듣고 명예를 회복하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나눔의 집'에서 거주하는 피해 할머니 5명도 재단 측이 지급하기로 한 1억원 수령을 사실상 거부하는 뜻을 내비쳤다. 길원옥 할머니는 "우리가 원하는 건 단순한 위로금이 아니다. 진정한 사과와 당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법적 배상금"이라며 울분을 토했다. 

아울러 위안부 피해 할머니 12명은 지난달 말 우리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냈다. 정부의 일방적인 위안부 합의로 정신적·물질적으로 손해를 받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생존 피해자 40명 중 소송 참여자는 30%에 달한다. 
 
상황이 이렇지만 정부와 재단 측은 아랑곳하지 않은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태현 '화해·치유재단' 이사장은 7일 오전께 의견 수렴을 위해 경인 용인에 사는 한 피해자 할머니를 방문했다. 그러나 이 할머니의 경우 몸이 불편한 데다 말하기도 어려운 수준에 이르러 사실상 의견 수렴 자체가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재단 측에서 최소한 거동의 불편함이 없고, 위안부 문제에 대해 거리낌없이 사실 그대로 판단하고 말할 수 있는 피해자들을 먼저 찾았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결국 재단 측은 강하게 비판하고 나선 피해 할머니들은 외면하고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향에서 문제를 풀어 나가려 한다는 것이다.     

재단 측은 한일 합의 내용을 피해자들에게 상세히 설명하고 현금 수령을 설득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사실상 일본 정부의 출연금 성격조차 명확하게 규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단 측은 언론을 통해 '화해·치유를 위한 지원금' 식의 애매모호한 표현을 했을 뿐 '배상금'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한 관계자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억울한 외침은 지금 계속되고 있는데 누굴 위한 합의이고 누굴 이한 배상인지 모르겠다"면서 "화해·치유재단은 잘못된 합의를 정당화하려 하는 것은 물론 피해 할머니들에게 더 큰 아픔과 상처를 안기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