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재준교수]
흉부외과 김재준 교수팀은 저명한 SCI 국제학술지인 유럽심장흉부학회지(European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에 오목가슴환자의 성장분석에 대한 연구를 지난해 발표했다.
오목가슴이란 신생아 1000명당 1명 꼴로 발생하는 선천성 흉벽기형으로 심한 경우 심장과 폐의 압박으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 최근에는 너스수술이란 방법으로 교정하여 뛰어난 결과를 얻고 있다.
그 동안 오목가슴 환자의 성장에 대한 연구와 교정수술로 인한 영향에 알려진 바가 없었다.
또한 기존에 오목가슴환자에 대한 성장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전무한 상태에서 얻어진 결과로 더욱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오목가슴이란?
오목가슴은 선척적으로 과도하게 함몰된 기형이다.
가슴뼈의 선천성 기형 중 가장 흔한 증상이다. 가슴 연골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면서 심장을 누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폐까지 영향을 끼쳐 호흡 곤란, 운동 기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인 너스수술
오목가슴은 보통 만2~5세 사이 수술을 실시한다. 성인도 수술이 가능하지만 초등학교 입학전에 수술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과거에는 앞가슴을 절개하고 갈비뼈를 잘라낸 뒤 금속막대를 거치시키는 방법이어서 환자에게 큰 부담이 됐다.
너스수술의 경우 갈비뼈를 절제 하지 않는다.
흉터가 크지 않아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성장기 전 어린이에게 적합하다.
무통수술을 겸하여 통증도 경미하다. 수술 후 일주일 정도 입원치료 거쳐 한 달쯤 지나면 일반적인 운동이 가능할 정도로 예후가 좋다.
수술한지 2~3년 뒤에는 막대를 제거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