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
사립유치원 단체인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가 3일 정부에 협상을 요구했다.
한유총은 이날 서울 용산구 사무실에서 '사립유치원 정상화를 위한 협상단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협상단을 꾸려 정부와 대화하겠다고 밝혔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유아교육 혁신추진단'이라는 이름의 한유총 협상단은 송기문 경기지회장을 단장으로 해 총 6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한유총은 "정부와 의견을 조율해 사립유치원 공공성과 책무성을 실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유총은 정부와 협상의제로 ▲ 사립유치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자율권 확보 ▲ 공공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사립유치원 모델 정립 ▲ 사립유치원 특수성을 고려한 시설사용료 인정 ▲ 합리적인 '출구방안' 마련 등을 제시했다.
교육부가 한유총과 협상에 임할 가능성이 작다는 지적에 이덕선 한유총 비상대책위원장은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대안을 내놓는다면 대화하겠다고 한 바 있다"면서 "사립유치원을 정상화하는 대화에 응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날 한유총은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유치원 3법(유아교육법·사립학교법·학교급식법)'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종전의 집단 폐원에서는 한 발 물러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이덕선 비대위원장은 집단폐원과 관련한 질문에 유치원 3법이 "원안대로 통과된다고 하면 내부의견을 모아 추후 대응방안을 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3일 여야는 사립유치원의 회계 투명성 강화를 위한 유치원 3법 개정안을 놓고 강하게 대립하며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날 국회 교육위원회 법안심사 소위원회는 더불어민주당이 당론으로 채택하고 박용진 의원이 대표 발의한 개정안과 자유한국당이 자체적으로 마련한 개정안을 병합해 심사했으나 공방이 이어졌다.
유치원 3법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여야 간 쟁점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어 법안의 신속한 통과는 불투명한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