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강덕 포항시장이 21일 오전 11시 시청 브리핑룸에서 정부조사연구단 결과 발표에 따른 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최주호 기자]
이강덕 포항시장은 21일 오전 11시 시청 브리핑룸에서 정부조사연구단 결과 발표에 따른 입장문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시장은 "정부가 시민이 공감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철저한 진상조사로 지열발전소와 지진 연관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해 준 데 대해 감사드린다"며 "그러나 산업통상자원부의 포항 지진 피해복구와 관련한 지원과 특별재생사업 발표는 근본대책으로 보기 어렵고 시민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포항은 지진으로 인한 인구감소, 도시브랜드 손상, 지진 트라우마 호소 등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피해를 봤고 기업의 투자심리 위축, 관광객 감소 등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었다“며 "정부는 조속하게 시민 피해 대책을 마련하고 최대 피해지역인 흥해에 재건 수준의 특별재생사업을 조속히 시행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강덕 시장은 "시민들의 정신적 피해 회복과 미래세대를 위한 트라우마 치유공원 등을 건설해야 한다"며 "시민을 대표하는 범시민대책기구가 구성되는 대로 시민 의견을 수렴해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포항의회도 성명서를 내고 "포항지진의 모든 책임은 정부에 있다는 것을 간과하지 말고 산자부 입장 발표에서 약속한 지열발전 사업의 영구 중단과 원상복구, 사업진행 과정과 부지선정의 적정성에 대한 감사 실시 및 사법기관의 엄정한 수사를 통한 원인규명, 책임자 처벌 등 포항 특별재생사업 지원 등에 대해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재원 포항시의회 의장은 "지열발전소와 CO2 저장시설을 즉시 영구 폐쇄하고 원상복구에 대한 세부계획을 포항시민 앞에 밝혀야 한다"며 "포항시민들의 정신적·물질적 피해의 완전한 보상을 위한 포항지역에 한정된 '피해 지역 및 지역 재건 특별법'을 제정하고 범정부적 기구를 발족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인구감소, 투자 감소, 부동산 가격하락, 도시 이미지 손상 등 2차적 피해에 대한 획기적인 대책을 강구하고, 지역경제 회생을 위한 국책사업 우선 배정,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하고 기업유치를 위한 전폭적인 지원을 실시하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