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코, ‘투톱’ 체제로…제2 도약 될까

알루미늄 제조‧판매 업체 알루코가 투톱 체제로 새롭게 출발했다. 알루코 그룹 대주주인 박도봉 회장이 해외사업을 총괄하고, 전병일 신임 회장이 국내사업을 진두지휘하겠다는 구상이다. 전문 경영인 독자 운영체제가 처음인 만큼 전 신임 회장의 행보가 주목된다.

알루코는 전문 경영인체제로 전환하며 올해를 ‘제2 도약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6일 밝혔다.

알루코 관계자는 “박도봉 회장이 전병일 회장에게 국내 사업을 맡기고 베트남에서 미래 신사업 발굴 및 신소재 연구개발(R&D)에 주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도봉 알루코그룹 회장(왼쪽) 전병일 알루코 대표이사 회장(오른쪽).[사진=알루코]
 

국내 사업을 맡게 된 전 회장은 우선 알루미늄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알루미늄 가공은 주조, 압출, 열처리, 시공 등의 과정을 거친다. 알루미늄 토탈 솔루션은 알루코가 모든 가공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의미다. 전 회장은 원스톱 시스템을 갖춘 만큼 이를 비전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또한 전 회장은 선택과 집중을 택했다. △전기자동차 배터리 저장장치 알루미늄 △반도체 생산라인 직접 제조 △운송기계 차체 △디스플레이 프레임 등 4개 부문의 사업을 신성장산업으로 선정해 육성해나가는 한편, 기존 창호 및 모바일 소재 부문은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알루코 관계자는 “지난해 시작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소재 사업은 올해 500억원 정도의 매출이 예상된다”며 “이번에 법인 설립을 마친 헝가리 지부와 향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다만 알루코는 신용등급이 BB+에 머물러 있다. BB+등급은 당장은 문제가 없지만 미래 안정성면에서는 투기적 요소가 내포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기 위주의 차입구조와 계열사에 대한 재무지원 부담 등은 신용도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알루코의 연결기준 총차입금은 3785억원이다. 이중 단기차입금은 86%(3262억원)로 단기적 상환부담이 높다. 2015년부터 베트남 생산기지의 생산라인 구축 등에 대한 투자와 대여금 형태의 재무지원도 부담이다.

이에 대해 알루코 관계자는 “지난해 베트남 법인이 (알루코의) 종속법인이 되면서 자산과 부채 모두 증가했다”며 “베트남 사업을 견고히 하려다 보니 그동안 지속적인 투자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하지만 베트남 사업이 흑자를 기록하고 있고, 전병일 회장의 경영철학이 캐쉬플로우(현금흐름) 중심인 만큼 향후 2년 안에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