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간 가디언과 미국 뉴욕타임스, 독일의 쥐트도이체차이퉁은 독일의 사이버보안업체 큐어53(Cure53)과 분석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고 2일(현지시간) 일제히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경경비대는 키르기스스탄공화국에서 신장자치구 지역으로 들어가려는 관광객을 상대로 검문을 실시하면서 휴대전화의 잠금 해제를 요구한다. 이들은 일정시간이 지난 후 휴대전화를 돌려주는데 이 과정에서 감시 앱이 설치되는 것이다.
펑차이(蜂采)라는 이름의 이 앱은 휴대전화의 문자메시지와 연락처, 사진 및 동영상, 문서 등의 광범위한 정보 추출이 가능하다. 중국 국영기업인 파이버홈네트웍스(Fiberhome Networks)가 개발한 것으로 추측된다고 가디언은 밝혔다.
대부분의 휴대전화는 이 앱이 다시 삭제된 후 반환되지만, 일부 관광객의 경우 앱 삭제가 안 된 상태로 기기를 돌려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가디언은 중국 당국에 이에 대해 문의했지만, 공식적인 답변을 듣지 못했다고 했다.

신장위구르지역에서 중국 국경경비대가 검문을 실시하는 모습. [사진=로이터통신]
신장 자치구는 위구르족 이슬람교도 1100만명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중국 당국의 오랜 탄압을 받아왔다. 중국 당국은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리스트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을 교화한다는 명목으로 이 지역에서 약 150만명을 수용소에 구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은 재교육수용소에서 이슬람교도들을 대상으로 이슬람교를 부정하고 공산당에 대해 충성하도록 세뇌 교육을 하는가 하면 이슬람교에서 금지된 돼지고기를 강제로 먹게 하는 등 인권 탄압을 하고 있다고 국제 인권단체들은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재교육 수용소가 테러리즘과 극단주의에 대응하는 데 필요하다거나 "인도적 직업교육센터"라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지난 3월 발표한 '신장 반테러·극단주의 척결 투쟁 및 인권보장' 백서를 통해 "2014년 이후 신장 당국은 1588 개의 폭력 및 테러리스트 조직을 분쇄하고, 1만2995명의 테러리스트를 검거했다"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