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낸드 10% 성장…삼성 2분기 연속 30%대 점유율 유지

세계 메모리반도체 낸드플래시 매출이 3분기에 10% 증가해 1년 만에 성장세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글로벌 반도체 시장조사업체 디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 세계 낸드플래시 제조업체들의 낸드 매출 합계는 118억8910만 달러(약 13조9610억원)로 전 분기 대비 10.2% 늘었다.

글로벌 낸드 시장이 전 분기 대비 증가세를 보인 것은 지난해 3분기(4.4%) 이후 처음이다. 낸드 시장은 지난해 4분기 16.8% 급감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23.8% 위축됐으며 2분기에도 0% 성장에 그친 바 있다.

다만, 올해 3분기 낸드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170억1420만 달러)에 비해서는 30.1% 감소해 반도체 불황이 이어졌다.

업체별로는 세계 1위인 삼성전자가 3분기 낸드 매출이 39억8720만 달러를 기록해 전분기보다 5.9%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증가율은 업계 평균의 절반 수준으로 시장점유율은 33.5%를 기록해 2분기(34.9%)보다 소폭 낮아졌다.

디램익스체인지는 삼성전자가 낸드 재고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에 따라 평균판매가격(ASP) 하락률을 5% 이하로 제한할 수 있었기 때문에 매출이 5% 이상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에 점유율 29.9%로 30% 아래로 떨어졌으나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30%대를 유지했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낸드 매출이 11억4570만 달러로 전분기보다 3.5% 증가에 그쳐 글로벌 6위로 떨어졌다. SK하이닉스는 2분기에는 점유율 10.3%로 5위를 기록했지만, 3분기에는 9.6%로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이로써 '반도체 코리아'의 합계점유율은 43.1%로 전분기(45.2%)보다 낮아졌다.

이밖에 세계 2위인 일본의 기옥시아(전 도시바메모리)는 22억2670만 달러로 14.3% 급증해 점유율을 18.7%로 높였다. 미국 WDC와 마이크론은 각각 8.4%, 4.7% 증가해 점유율 3, 4위를 유지했다.

인텔은 저장장치인 SSD(Solid State Drive) 매출이 급증함에 따라 3분기 매출이 37.2% 급증해 '톱5' 가운데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인텔은 2분기에는 점유율 8.7%로 SK하이닉스에 이어 6위를 기록했지만, 3분기에는 10.9%를 차지하며 5위로 올라섰다.

디램익스체인지는 4분기 낸드 시장은 고정거래 가격의 조정과 계절적 수요 등에 따라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