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는 23일 유승만 교정정책 단장 등 교정당국 실무자 9명으로 진상조사단을 구성해 오후 첫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이들은 유골들에 대해 매장 경위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법무부 관계자는 "유골이 두 부분으로 나눠서 묻혀 있었는데, 이렇게 유골이 합장된 부분에 대해 관련 서류를 찾아보거나 이전에 광주교도소에서 근무했던 사람 등을 추적 조사하는 등 행정적인 사안을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진상조사단의 활동은 합동조사단의 활동과는 별개로 진행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합동조사단의 진상조사 활동에 적극 협조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5.18 단체들은 해당 유골들이 5.18 당시 실종된 행방불명자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옛 광주교도소는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사망한 실종자들의 시신이 암매장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던 곳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관련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법무부와 검찰 및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은 이날 첫 회의를 열고 유전자 감식 등을 통해 5·18 희생자 여부 등을 가리는 활동을 시작한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