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제공]
진서연은 26일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수술용 마스크 50매를 11만 4천 원에 올린 쇼핑몰 사진을 올리고 "쓰레기 같은, 인간 같지도 않은 인간들. 이게 할 짓이냐. 사람 생명이 왔다 갔다 하는 판에 버젓이 말도 안 되는 폭리를 취하는데 정부가 가만히 있다. 할 수 있는 모든 욕을 하고 모든 죄를 묻게 해야 한다. 쓰레기"라고 썼다.
진서연은 이후 올린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도 "모든 인터넷 구매 사이트 마스크 폭리가 현실인 마당에 대책들은 쏟아지는데 한발 늦은 대책과 폭리 업체들을 잡지 못하는 현 시점. 뭐가 문제라니요…"라고 밝혔다.
진서연보다 앞서 박명수는 지난달 말부터 자신이 진행하는 KBS쿨FM '박명수의 라디오쇼'를 통해 코로나19 사태를 우려하며 마스크 가격 폭등을 지적해 왔다.
그러다 지난 25일 방송에서 그는 마스크를 구하기 힘들다는 한 청취자의 사연을 전하며 "줄 서서 마스크를 사는 모습을 봤다. 이럴 때 마스크가 없다는 게 말이 안 된다"면서 "예전에 마스크를 살 때는 묶음으로 개당 800~1000원 정도였는데 요즘엔 4000원이다"라고 비판했다.

[사진= MBC 제공]
조장혁도 지난 24일 SNS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그는 "'사람이 먼저다'라는 말이 아직도 귓전에 맴도는데 그냥 선거 유세 문구였나 보다. 국가에 대한 섭섭함이 드는 이 기분 나만 그런 것이냐"라며 코로나19 확산 속 정부의 대처를 꼬집었다.
이후 해당 글을 두고 '소신 발언이다', '대책 없는 비판이다'라는 상반된 주장이 나오며 논란이 일자 조장혁은 한 유튜브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초동 대처를 잘 못한 것 때문에 섭섭한 마음을 올린 것이다. 대통령에게 섭섭하다는 건 아니고 국가에 대해 글을 올린 것이다"라고 한 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

배우 한상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배우 한상진도 나섰다. 그는 "마스크랑 손 소독제 기본 방역 용품은 국가에서 관리를 해줬어야 한다"면서 "마스크 가격이 이건 아니다. 이런 시국에서 마스크 수급과 가격도 컨트롤 못하면 어찌하라는 건지"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외교상 불이익을 생각해서 초반 중국인 입국을 막지 못했다면 최소한 국민들이 불안하지 않게 기본 방역용품을 국가가 관리해주는 균형감이 필요했다"고 주장했다.
한상진은 "이제 와서 중국에 마스크 수출한 상인들을 조사한다는데 먼저 마스크 생산량을 최대치로 늘리고 국민들이 마스크 때문에 겪는 최소한의 불안감을 해소시켜줘야 하는 게 아닐까"라고 생각을 밝혔다.
전 프로게이머이자, 유명 BJ 이제동의 발언도 회자됐다. 이제동은 "하늘을 손바닥으로 가리려고 하면 안된다"며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초점이 확진자 들에게 가는 것이 문제"라는 자신의 견해를 방송을 통해 밝혔다. 이제동은 "내가 대한민국 국민으로 세금도 내고 있는데"라며 소신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같은 연예인들의 발언을 두고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소신 있다'라는 반응과 '대책은 없이 비판만 앞서 경솔하다'라는 의견이 나뉘어 대립하고 있다. 정부의 정책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인 비판만 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것. 하지만 모두 코로나19와 마스크 폭리 현상으로 인해 시민들의 피해가 큰 만큼 신속히 해결되길 바라는 간절한 마음에서 나온 것이라는데는 의견을 함께 하고 있다.
한편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6일 오전 9시 현재, 전일 오전 9시 대비 253명(전일 16시 대비 169명)이 추가돼 현재까지 1146명이 확진됐으며, 이 중 1113명이 격리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2만8247명은 검사 음성, 1만6734명은 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 중 사망자는 총 12명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