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6일 오후 2시 10분 정부오송청사에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을 개최하고, 이 같이 밝혔다.
앞서 호주 모니쉬(Monash)대학 생의학발견연구소(Biomedicine Discovery Institute)의 카일리 왜그스태프 박사는 세포 배양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구충제 ‘이버멕틴(Ivermectin)’에 노출되자 48시간 안에 모든 유전물질이 소멸됐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구충제가 코로나19에도 효과가 있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식약처에서도 비슷한 답변을 내놨다. 식약처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구충제의 경우 흡수율이 낮기에 치료제로 개발되려면 임상시험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식약처는 (구충제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현황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버멕틴은 미 식품의약품(FDA) 승인을 받은 구충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버멕틴 성분이 함유된 구충제는 허가되지 않았으며, 수출용으로만 한 개 품목이 허가된 상태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사진=질병관리본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