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28.34달러로 소폭 반등했다. 하지만 국제유가는 3개월 만에 3분의 1토막이 났고, 이제 겨우 올라서는 모양새다. 반등의 움직임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트위터를 통해 산유국들의 감산 시그널을 보내면서 나타났다.
유가의 반토막 이상의 폭락에도 휘발유 가격은 요지부동이라는 의견이 많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휘발유 가격은 올초 리터당 1550원대에 머물렀다. 6일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오피넷을 살펴보면 휘발유의 리터당 전국 평균가격이 1362원이다. 떨어진 비율은 10% 정도에 불과하다. 원유의 하락폭과는 상당히 차이가 나는 셈이다.
정유업계는 이 같은 지적에 세금의 문제를 꺼냈다. 휘발유에서 차지하는 세금의 비중은 60%를 넘는다고 정유업계는 주장한다. 높은 세금비율만큼 자신들의 가격에 개입할 여지가 적다는 것. 계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휘발유의 시중 판매가를 1400원으로 잡으면 약 873원이 세금이다. 항목별로는 교통세 529원, 교육세 79.35원, 주행세 137.54원, 부가세 127.37원 등이 포함된다. 일부 주유소에서는 플랜카드를 걸고 유류세 알리기 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주유소의 재고분을 소진하는 경우 이전 휘발유 가격을 적용해 시세의 반영이 느리게 느껴지기도 한다.
한편 국내 유가의 투명성과 건전성은 과거보다 높아졌다는 평가다. 한국석유공사는 전국 각지의 유가를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는 오피넷 사이트를 운영 중이다. 또한 알뜰주유소 등을 통해서 유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시도도 병행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