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서 “이번 조치가 코로나19 극복은 물론 우리 기업과 경제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발표에 담긴 내용들은 신속한 실행이 중요한 만큼 20대 국회가 남은 임기동안 대승적 합의와 입법으로 유종의 미를 거두길 바란다”면서 “무역업계도 이번 사태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총력 대응에 힘을 모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 삼성동 한국무역협회 사옥 트레이드타워 전경 [사진=무역협회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5차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하며 '일자리 위기 극복을 위한 고용 및 기업 안정 대책'을 확정했다.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85조원을 추가 투입하고 정부가 50만개의 대규모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 이른바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일자리를 지키는 것은 국난 극복의 핵심 과제이며 가장 절박한 생존 문제”라며 이같이 결정했다.
실적 부진으로 민간의 고용 창출 여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가 직접 공공 부문과 청년 일자리 등 50만개 신규 일자리를 만들고, 연기됐던 공공부문 채용 절차도 정상화 한다.
휴직수당의 90%까지 보전하는 고용유지 지원금을 확대 지원하고. 타격이 심한 항공지상조, 면세점업 등의 업종은 특별고용 지원 업종으로 지정해 지원을 강화한다.
고용 사각지대인 프리랜서, 특수고용노동자, 영세사업자 등 93만명에는 고용안정 지원금을 3개월간 50만원씩 지급한다.
정부는 또한 위기를 겪고 있는 기간산업을 위해 40조원 규모의 '기간산업 안정기금' 긴급 조성을 추진한다. 일시적 유동성 지원을 넘어 출자나 지급보증 등 가능한 모든 기업 지원 방식을 총동원할 방침이다. 또 앞서 비상경제회의에서 결정한 100조원 규모의 비상금융 조치는 135조원 규모로 확대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