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의 영정과 유골함이 1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추모공원에서 화장을 마친 뒤 박 시장의 고향인 경남 창녕으로 이동하기 위해 운구차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디지털 포렌식'이란 PC나 노트북, 휴대폰 등 각종 저장매체 또는 인터넷 상에 남아있는 디지털 정보를 분석해 범죄 단서를 찾는 수사기법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14일 경찰 관계자는 “이 사건이 중요한 사건인 데다 (포렌식을 하라는) 담당 검사의 지휘도 있었다”며 “유족과 협의해 일정을 조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전 시장이 사용하던 휴대전화는 사망 전 행적뿐만 아니라 성추행 의혹, 고소 사실 유출 의혹 등을 푸는 데도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현재 경찰은 박 전 시장이 숨진 장소에서 나온 휴대전화 1대를 보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종은 신형 아이폰으로 비밀작업 해제 작업은 경찰청 분석팀이 맡는다.
경찰은 박 전 시장의 발인이 전날 엄수됐고 아직 장례 절차가 남은 점을 고려해 며칠 시간을 두고 유족과 포렌식 일정을 협의하기로 했다.
경찰 관계자는 “전자 정보는 동일성 여부 등의 사유가 있어서 소유자가 포렌식 과정을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휴대전화 소유자나 소유자로부터 위임을 받은 자는 포렌식 현장을 참관할 수 있다. 경찰은 박 전 시장이 사망한 상황이므로 유족에게 포렌식을 참관할 권리를 고지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유족이 포렌식 참관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곧 협의할 예정”이라며 “포렌식은 수사 과정에서의 절차이기 때문에 유족 동의가 있어야 하는 건 아니다”라고 전했다.
다만, 경찰은 유족이 포렌식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관련 규정에 따라 진행할 수 있지만 사안의 중요도를 고려해 유족을 최대한 설득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