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그린뉴딜을 주요 정책으로 삼고 있는 가운데 수소·전기차 산업뿐만 아니라 해상풍력 분야도 주목받고 있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글로벌 그린뉴딜 정책의 확산으로 아직 성장 초기 단계인 해상풍력 시장이 급격히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유럽 전역에서 그린산업 전성기가 도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EU가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부양책으로 그린딜 정책을 내세우면서 수소생산의 대부분이 해상풍력과 연계돼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 연구원은 "EU가 해상풍력 개발 및 터빈 제조 글로벌 시장을 장악하고 있고 수전해 장치 시장도 유럽 업체들이 경쟁력에서 앞서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에 연계되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빠른 수전해 설비인 PEM(Proton Electrolyte Membrane) 방식이 유리한데 해당 시장은 개발이 앞선 유럽업체들이 선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연구원은 EU가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해상풍력 설비와 이와 연계된 수전해 설비투자를 큰 폭으로 늘릴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유럽의 해상풍력 설치량은 올해 말 기준 약 24GW 수준으로 예상되는데 EU는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80GW 이상의 해상풍력을 신규 설치할 계획"이라며 "연계될 수전해 설비도 매년 20~30MW 설치됐지만 오는 2023년부터는 연간 GW 수준의 설치가 예상되는데 EU의 목표는 오는 2024년까지 6GW, 2030년까지 역내에 40GW, 역외에 40GW다"라고 말했다.
아시아 지역에서의 투자 확대도 이어지고 있다. 대만의 경우 풍력과 태양광 중심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지난 2018년 기준 5%에 그쳤지만 오는 2025년까지 20%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 중 해상풍력은 8MW 수준에서 5.5GW 수준으로 늘리기로 했다. 일본은 지난해 말 66MW 수준인 해상풍력 설치량을 2030년까지 820MW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한국의 경우 그린뉴딜 정책에 따라 현재 총 124MW인 해상풍력 설비를 10년 뒤 12GW까지 늘리기로 한 상태다. 이를 위해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위한 13개 권역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발표한 그린뉴딜 정책 중 신재생에너지 확산 기반을 구축하는 계획은 자국의 시장을 넓혀 설비업체들에게 시장점유율 확대 기회를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의 개발계획이 중장기적으로 10배 성장을 계획하고 있다"며 "한국 프로젝트 진행에서는 디벨로퍼의 역할 수행이 많아지고 한국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해외 프로젝트 진행에서는 터빈 및 부품 제조사의 수혜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