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가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딥페이크’ 기술을 탑지하는 기술을 2일(현지시간) 선보였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이미지 합성 기술로, 최근 유명인의 얼굴이나 특정 신체 부위 등으로 허위·조작 영상을 만드는 데 사용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비디오 어센티케이터(Video Authenticator)로 불리는 이 도구는 해당 영상이 인위적으로 얼마나 조작됐는지를 퍼센트(%)로 보여준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가 공개한 데모 영상엔 딥페이크가 감지될 경우 빨간색 글자와 함께 특정 퍼센트가 등장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비디오가 재생될 때 프레임에서 실시간으로 이 비율을 제공한다”며 “인간의 눈으로 감지할 수 없는 딥페이크를 감지해 작동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능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에 탑재된다. 마이크로소프트와 파트너십을 맺은 비영리 기업 AI 파운데이션은 이 기술을 활용해 뉴스 매체, 정치 광고 등을 검증할 예정이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이미지 합성 기술로, 최근 유명인의 얼굴이나 특정 신체 부위 등으로 허위·조작 영상을 만드는 데 사용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비디오 어센티케이터(Video Authenticator)로 불리는 이 도구는 해당 영상이 인위적으로 얼마나 조작됐는지를 퍼센트(%)로 보여준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가 공개한 데모 영상엔 딥페이크가 감지될 경우 빨간색 글자와 함께 특정 퍼센트가 등장한다.
이 기능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에 탑재된다. 마이크로소프트와 파트너십을 맺은 비영리 기업 AI 파운데이션은 이 기술을 활용해 뉴스 매체, 정치 광고 등을 검증할 예정이다.

마이크로소프트 딥페이크 방지 기술 '비디오 어센티케이터' 사용 이미지[사진=마이크로소프트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