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올리브네트웍스, 라이브공연플랫폼 '라이브라떼' 출시…온택트 신사업 지원

  • 방송 횟수만큼과금…IT구축·유지 부담 낮춰

  • 라이브공연 콘텐츠보호·다수동시접속 지원

CJ올리브네트웍스가 실시간 스트리밍서비스 플랫폼 '라이브라떼(Live Latte)'를 출시했다. 비대면 트렌드 확산에 따라 라이브 공연·커머스 시장에 뛰어들면서 신규 IT인프라 구축비용 부담을 줄이려는 기업을 겨냥했다.

10일 CJ올리브네트웍스는 라이브라떼를 출시하면서 앞서 그룹계열사 CJ올리브영의 '올라이브'와 그룹 멤버십브랜드 CJ원의 '원라이브' 등 그룹내 라이브커머스 방송을 성공적으로 지원하며 플랫폼 운영 역량과 기술 검증을 마쳤다고 밝혔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앞서 서울시와 손잡고 라이브라떼 베타버전으로 지역농가 제철 농산물을 판매하는 라이브방송을 진행했다. 지난달 한 달간 주1회 '상생상회 기획전'을 진행해 복숭아, 자두, 청귤, 간식박스 등을 판매했다. 또 가족뮤지컬 신비아파트 시즌3 일부 공연을 무관중 생중계하는 온택트라이브를 제공했다.
 

라이브라떼를 통해 가족 뮤지컬 신비아파트 시즌3를 중계하는 장면(왼쪽)과 서울시와 함께 지역 농가의 상품을 판매하는 라이브 방송 장면.[사진=CJ올리브네트웍스 제공]


라이브커머스 분야 사업에 진출하려는 기업은 자체 플랫폼 구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하는 부담을 피해 외부 플랫폼을 활용한다. 외부 플랫폼을 사용하면 회원 정보, 로그인 연계 등 최적화에 어려움을 겼는다. 라이브라떼는 고객이 원하는 플랫폼 연동을 모두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웹사이트, 모바일 앱·웹, SNS 등 자체 플랫폼과 멀티플랫폼 동시 생방송이 가능해, 유입을 늘릴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방송 횟수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비용 부담을 덜었다. 순간 트래픽 폭주 등 인프라 측면의 돌발상황에 대처할 기술 역량을 갖추지 못한 기업들도 편리하게 이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라이브라떼를 활용하는 라이브공연 서비스는 디지털저작권관리(DRM)를 적용해 콘텐츠 보호가 가능하다. 대용량 채팅 및 퀴즈 등 인터렉션 기술로 사용자간 실시간 소통을 지원한다. 다수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계했고, 라이브공연의 특성을 고려해 중앙에서 플레이어 화면 UI를 실시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관리자 운영 소프트웨어 기능을 강화했다.

박성우 CJ올리브네트웍스 DT기획팀 부장은 "언택트가 뉴노멀 시대의 트렌드가 되면서 영상 및 AI 데이터 중심의 비대면 마케팅을 강화해야 한다"며 "라이브라떼는 자체 플랫폼 내 연동이 쉽고 고객 니즈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포스트 코로나의 기업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