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지역화폐 발행 연별 추이.[사진=경기도 북부청 제공]
특히 소상공인 업종의 소비 촉진과 매출 증대를 유도하며 골목상권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분석됐다.
24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지역화폐를 직접 구매한 일반발행과 정책발행을 포함한 액수는 2조8519억원으로, 발행 목표치 8000억원의 350%에 달했다.
전년도 목표치 480%를 초과한 2조3812억원 보다도 4700억원 늘어난 금액이다.
결제 가맹점수도 25만4024곳에서 41만4153곳으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재난기본소득과 재난지원금, 소비지원금과 맞물리며 전국 광역단체 중 실적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 같은 지역화폐의 '순기능'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줬다는 평가다.
경기연구원이 지난달 1월 발표한 경기지역화폐가 도내 소비자 및 소상공인에 미친 영향 분석을 보면 도내 소상공인 70.8%가 '지역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됐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책발행인 지역화폐 수령 후 현금, 카드와 일반발행 지역화폐를 이용한 추가소비율은 44.4%로 집계돼 소비진작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경기도는 올해 일반발행 2조3941억원, 정책발행 4196억 원원 등 2조8137억원 규모로 지역화폐 발행량을 확대, 골목상권과 소상공인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코로나19발 경제위기, 지역화폐 관심도 등 종전 추세를 볼 때 3조원 이상 발행할 것으로 경기도는 예상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경제충격을 완화하고, 위축된 소비심리를 회복시키고자 인센티브 지급률을 종전 6~10%에서 연중 10%로 늘리기로 했다.
농민기본소득, 여성청소년 기본생리용품 보편지원 등 파급효과가 큰 신규 정책수당을 발굴, 지역화폐 발행규모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또 실물카드 없이 모바일로 편리하게 결제가 가능한 '간편결제 플랫폼'도 연내 도입하는 한편 가맹점 등록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 효율적인 운영체계 구축을 위해 도 단위 ‘지역화폐 공동운영기관’도 설립할 예정이다.
류광열 경기도 경제실장은 "경기지역화폐는 골목상권과 소상공인을 두텁게 보호하는 맞춤형 경제정책"이라며 "소비심리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고, 이용 편의도를 높여 도민 생활 속 밀접한 소비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