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을 신고한 사례가 최근 사흘간 1500건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근육통, 두통 등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 대부분이며 사망 신고는 14건 접수됐다.
29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이달 26∼28일 백신을 맞은 뒤 이상반응이 나타났다고 보건당국에 신고한 신규 사례는 총 1556건이다. 26일에는 367명이었지만 27일 405명, 28일 784명으로 늘었다.
먼저 사망 신고는 26일 3명, 27일 8명, 28일 3명 등 총 14명 늘었다. 이중 11명은 화이자 백신을 나머지 3명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다.
성별로는 남성 11명, 여성 3명이다. 연령별로는 100세 이상 1명, 90대 1명, 80대 9명, 70대 3명이다.
이들 중 10명은 기저질환(지병)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고, 나머지 4명에 대해서는 조사가 진행 중이다.
중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의심 신고 사례는 14건(아스트라제네카 12건·화이자 2건) 추가됐다.
‘특별 관심 이상반응’이나 중환자실 입원, 생명위중, 영구장애 및 후유증 등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110건(화이자 63건·아스트라제네카 47건)이 새로 신고됐다.
나머지 1418건은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접종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었다.
한편, 국내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된 2월 26일 이후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 신고는 총 2만6859건이다. 이날 0시 기준 국내 1·2차 누적 접종 건수(736만7683건)의 약 0.36% 수준이다.
29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이달 26∼28일 백신을 맞은 뒤 이상반응이 나타났다고 보건당국에 신고한 신규 사례는 총 1556건이다. 26일에는 367명이었지만 27일 405명, 28일 784명으로 늘었다.
먼저 사망 신고는 26일 3명, 27일 8명, 28일 3명 등 총 14명 늘었다. 이중 11명은 화이자 백신을 나머지 3명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다.
성별로는 남성 11명, 여성 3명이다. 연령별로는 100세 이상 1명, 90대 1명, 80대 9명, 70대 3명이다.
중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의심 신고 사례는 14건(아스트라제네카 12건·화이자 2건) 추가됐다.
‘특별 관심 이상반응’이나 중환자실 입원, 생명위중, 영구장애 및 후유증 등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110건(화이자 63건·아스트라제네카 47건)이 새로 신고됐다.
나머지 1418건은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접종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었다.
한편, 국내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된 2월 26일 이후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 신고는 총 2만6859건이다. 이날 0시 기준 국내 1·2차 누적 접종 건수(736만7683건)의 약 0.36% 수준이다.

휴일인 29일 오전 서울 동작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가 설치된 사당종합체육관에서 시민들이 접종실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