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철기 KT AI/DX B2B 사업담당(상무)가 KT AI/DX Space 사업 전략을 발표하는 모습. [사진=KT 제공]
스마트+인테리어 B2B 전략 세미나는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소속의 스마트+인테리어 포럼에서 주관했다. KT는 스마트+인테리어 포럼의 부의장사다.
코로나19 등으로 집의 역할과 개념은 경제·문화·교육 활동의 중심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이 같은 트렌드가 반영된 ‘편리해진 집콕 생활’을 위한 주거시장의 특성을 도출하고 언택트·위드코로나 시대의 신시장을 준비하기 위해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는 국내 스마트홈·리모델링 시장을 대표하는 삼성전자, LH 한국토지주택공사, 한샘, 그랩, 씨지라이팅 등 관련 기업과 단체들이 함께 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9월 오픈한 KT 송파빌딩과 소피텔 엠베서더 호텔에서 열렸다. 간담회, 주제 발표, 전시 등으로 이뤄졌다. 회원사들은 KT의 AI/DX 플랫폼과 서비스인 △방역로봇·바리스타로봇·서빙로봇 등을 볼 수 있는 로봇카페 △산소공급·실내공기측정기 등 환경DX플랫폼 △ 업무집중도와 편의성 제고를 위한 DIGICO Workplace △블록체인 분산 식별자(DID)모바일 사원증 등을 체험했다.
송재후 KT AI/DX 융합사업부문장(부사장)은 “스마트+인테리어 B2B 전략 세미나는 KT의 선도적인 플랫폼을 소개하고 스마트홈 정보를 교류한 뜻 깊은 시간이었다”며 “KT는 앞으로도 자체 보유 기술 및 여러 기업과의 협력으로 스마트하고 편리한 AI/DX Space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