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사례2 : 40대 투자자 B씨는 고수익을 장담하던 한 유사투자자문업체 서비스에 가입했으나 수익률이 시원찮아 해지를 요구했다. 하지만 업체는 연락을 받지 않았고 결국 이용료로 지불한 돈을 고스란히 떼이게 됐다.
금융당국이 문제가 되고 있는 유사투자자문업자의 불법행위 단속을 강화하면서 적발된 불법행위 건수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9월 말 현재까지 총 점검대상 640개 업체 중 474개(74.1%) 업체에 대한 점검 결과 70개 업체에서 73건의 위법혐의가 적발됐다. 적발률은 14.8%로 전년 대비 0.8%포인트가 상승했다. 적발업체 수도 전년 동기 49개 업체에서 70개 업체로 21개(42.9%)가 늘었다.
세부 유형별 불법혐의로 유사투자자문업자의 자본시장법상의 보고의무 위반(소재지·대표자 변경 등) 혐의가 39건(전체 위반건수의 53.4%)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 카카오톡이나 전화 등을 통해 1대1로 투자자문 등 미등록 투자자문업 영위 혐의는 17건(전체 위반건수의 23.3%)으로 집계됐다.
유사투자자문업자는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발행되는 간행물, 전자우편 등에 의한 조언 제공만 가능하다. 카카오톡 등 일대일 또는 양방향의 자문 행위는 해선 안 된다.
또 주식 자동매매 프로그램 등을 이용한 미등록 투자일임업 영위 혐의도 17건으로 전체 위반건수의 23.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법혐의의 주요 특징을 나열해 보면 기존 단순 1대1 미등록 투자자문에서 투자자 컴퓨터에 자동매매 프로그램을 설치해 유사투자자문업자 주문내역과 연동된 주문을 실행하는 등의 고수익 목적의 미등록 투자일임행위로 불법 행태가 변화 중이다.
금감원은 올해 말까지 166개 유사투자자문업자에 대한 추가적인 일제·암행점검을 실시하고, 이들이 운용 중인 리딩방 등에 대한 집중검검에 나선다. 또 온라인 채널에 대한 신속 차단 절차에도 나설 예정이다.
한편 금감원은 오는 12월부터 온라인 개인방송(유튜브)에 대한 특별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유사투자자문업자가 운영하는 개인방송에서의 위법행위와 온라인 개인방송에서 벌어지는 불법 미신고 유사투자자문업 등을 단속할 예정이다.
금감원 측은 “증권회사는 건전한 투자문화 정착과 신뢰받는 거래질서 확립에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할 사회적 책임이 있다”며 “유사투자자문업자의 불법행위(미등록 투자자문업 및 미등록 투자일임업)을 증권회사가 방조하거나, 공모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면밀한 시장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