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마감] 아마존발 '나스닥 반등'에 혼조 마감...주간으론 상승세 유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지현 기자
입력 2022-02-05 08:5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4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기업 실적에 따라 오르고 내리는 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날 메타플랫폼스(구 페이스북·메타)로 크게 흔들렸던 투자 심리는 이날 아마존의 실적 호조세에 힘입어 일부 회복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21.42p(0.06%) 하락한 3만5089.74에 마감했다. 반면 S&P500지수는 23.09p(0.52%) 반등한 4500.53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19.19p(1.58%) 높아진 1만4098.01을 기록했다. 주간 기준으론 3대 지수 모두가 상승세를 유지했다. 다우지수는 1.0% 올랐으며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1.6%와 2.4% 높아졌다. 

S&P500지수의 11개 부문 각각은 5개와 6개 부문이 오르고 내렸다. 각각 △임의소비재 3.74% △에너지 1.58% △금융 1.66% △기술 0.47%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0.14%가 오르고, △필수소비재 -1.2% △헬스케어 -0.41% △산업 -1.07% △원자재 -1.72% △부동산 -1.26% △유틸리티 -0.8% 등이 내렸다. 

시장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 전환 과정을 주시하는 가운데, 각 기업의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 장세는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전날 메타의 실적 부진에 따라 기술주를 중심으로 급격히 높아졌던 매수세는 이날 아마존의 매출 호조세에 힘입어 일부 완화했다. 

지난 3일 아마존은 지난해 4분기 자사의 순이익이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분기 아마존은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1374억 달러(약 164조9000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당시의 72억 달러에서 143억 달러로 뛰어올랐다. 주당 순이익 역시 시장 예상치 3.63달러를 크게 뛰어넘은 28.21달러에 달했다. 이에 따라 이날 아마존의 주가는 13% 이상 뛰어올랐다. 

해당 기간 아마존은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공급망 혼란과 구인난에 대비해 온라인 소매 매출 피해를 줄인 데다, 클라우드·광고 사업은 성장세를 이어갔고 투자 수익 역시 양호했다. 

특히 아마존이 22.4%의 지분을 투자한 전기트럭 제조사 리비안이 120억 달러가량의 영업이익을 내면서 순익 확대에 일조했다. 리비안은 지난해 11월 기업공개(IPO)를 통해 주가가 크게 뛴 상황이다. 아마존의 핵심 수익원인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아마존웹서비스·AWS) 매출액은 전년 4분기보다 약 40% 증가한 177억8000만 달러로 성장했고, 광고 사업 부문의 매출 역시 전년 대비 32% 증가한 97억 달러로 집계됐다.

광고 사업 부문은 이날 처음으로 개별 공개됐으며, 첫 매출 공개와 동시에 미국에서 구글과 페이스북에 이은 3위 광고 플랫폼이 됐다. 또한 아마존은 자사의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OTT) 플랫폼인 아마존프라임의 구독료를 인상하겠다고도 발표했다. 

다만, 시장 전문가들은 이날 아마존이 끌어올린 반등세가 일시적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넷플릭스와 메타의 실적 부진으로 전체 장세를 흔들고 있는 기술주 약세 추이가 더 강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50파크인베스트멘츠의 애덤 사한 최고경영자(CEO)는 CNBC에서 "넷플릭스와 메타의 급락세가 표면적으로 시장 전체의 약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대형 기술주 종목 중 일부가 '페니 주식(동전주, 성장 가능성이 낮아 가격이 매우 싼 주식)'처럼 거래되는 상황은 '월가의 약세 시작' 혹은 물 밑의 '거대한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공개된 미국 노동부의 1월 고용보고서는 시장의 예상치를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나면서 미국 국채 금리 급등세로 이어졌다. 

보고서는 미국의 비농업 부문 고용자가 지난 1월 46만7000명 증가했다고 집계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15만명 증가를 크게 웃돈 수치다. 실업률은 전월 3.9%에서 4%로 소폭 올랐다. 

앞서 미국의 1월 노동시장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의 영향을 받아 일시적으로 위축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대부분의 시장 전망치가 2개월 연속 '20만명 하회'를 가리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날 집계에선 1월 신규 고용뿐 아니라 앞선 통계치 역시 상향 조정되며 미국 노동시장이 코로나19 재유행에도 탄탄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12월 신규 고용자 수를 당초 19만9000명 증가에서 51만명 증가로, 같은 해 11월은 24만9000명 증가에서 64만7000명 증가로 수정했다. 

1월의 시간당 노동자 평균 임금은 전월 대비 23센트 증가한 31.63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노동자들의 평균 임금이 전년 대비 5.7%나 급증한 것으로, 향후 임금 부담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세)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시장의 지적에 더욱 힘을 실었다. 

이와 같이 1월 노동보고서가 노동시장의 견조한 호조세와 인플레이션 우려 강화를 가리키자, 투자자들은 국채 시장에 몰렸다. 연준이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0.5%p(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하거나 연내 4~5회 금리인상을 실시하는 등 더욱 강한 결정을 내릴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다. 

이날 장중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 2020년 1월 이후 최고치인 1.93% 수준까지 올랐으며, 2년물 금리는 장중 1.328%까지 가파르게 급등한 후 0.316% 수준에서 마감했다. 이에 따라 장단기 금리차는 더욱 좁혀지며 미래 시점의 경기 침체를 암시하는 '플래트닝' 상황에 한발 더 다가섰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13p(4.64%) 내린 23.22를 기록했다. 
 
'90달러 유가' 지속...유럽증시 반락·금 반등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반락했다. 전날 유럽중앙은행(ECB)이 인플레이션 우려에 입장을 선회하며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을 내비친 탓이다. 

영국 런던증시의 FTSE100지수는 0.17% 하락한 7516.40으로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의 DAX30지수는 1.75% 낮아진 1만5099.56을, 프랑스 파리증시의 CAC40지수는 0.77% 내린 6951.38을 기록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지수는 1.31% 반락한 4086.58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유가는 오름세를 이어가며 고점 수준을 유지했다. 이날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장 대비 2.04달러(2.26%) 오른 배럴당 92.3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영국 런던ICE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4월물 역시 2.16달러(2.37%) 높아진 93.27달러에 거래됐다. 

금값은 반등했다. 미국 달러화 가격이 반락한 수준을 이어간 탓이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4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4.7달러(0.26%) 높아진 온스당 1808.8달러를 나타냈다. 

한편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날 대비 0.11% 오른 95.48을 기록하며 보합세를 보였다. 지난달 말 당시 달러인덱스는 2020년 6월 이후 처음으로 97대에 진입했지만, 최근 유로화 강세로 급락 추이를 보이고 있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 [사진=AF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