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 인구증가세 전북도내 1위로 등극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2/05/20221205101238891003.jpg)
김제시청 전경[사진=김제시]
김제시의 인구수는 올 들어 444명이 증가(11월 말 기준)했으며, 자연감소로 761명(출생 332명, 사망 1093명)이 급감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이동으로 1297명이 증가해 기록적인 인구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또한 전북도의 인구증가에 일조하고 있으며, 나아가 인구정책 벤치마킹 지자체로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김제시의 인구증가가 더 주목받는 이유는 청년층(만18~39)과 장년층(만50~64)의 인구유입이다. 전월 말 대비 청년층이 81명, 장년층이 34명 증가해 미래에 대한 발전 가능성도 엿볼 수 있는 유의미한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시는 생애주기별 인구정책 지원금도 인구증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지만 △내지역 김제愛 주소갖기 캠페인 △생애단계별 인구교육 △가족친화 직장환경 조성사업 △미혼청년 취미클래스 △다자녀가정 행복드림 매칭후원 사업 △임산부․다자녀가족 할인가맹점 운영 △금융기관 김제아이 함께키움 사업 △찾아가는 전입창구 운영 △인구정책 가이드 북을 포함한 각종 홍보물 배포 등 민간에서도 인구감소 위기를 공감하고 대응에 동참할 수 있게 한 인식개선 활동과 그로 인해 얻어진 인구감수성 향상도 큰 원동력이 됐다고 진단했다.
한편 정성주 시장은 “민선8기 시정방침인 ‘인구성장 초석마련’이라는 캐치프레이즈로 취임 후 6개월을 쉼 없이 달려 온 결과, 유의미한 성과를 보인 것이다”라며 “2023년에도 역동적이고 입체적인 인구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인구 10만명 회복의 초석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김제시 지사협, 노인분과 특화사업 노인 문학경연대회 작품 전시회 개최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2/05/20221205101506631112.jpg)
김제지사협 노인분과 전시회[사진=김제시]
이번 공모전은 9월 30일부터 10월 31일까지 한달 동안 표어 및 삼행시 공모전에 60세 이상 김제시민 222명이 총 268작품을 출품하며 높은 관심과 참여율을 보였다.
공모전에 최종 선정된 19점 중 대상은 김순자(76,신풍동)의 한줄쓰기로 “몸은 노년의 시간을 걷고 있지만 맘은 청춘의 시간을 달리고 있는 그대들. 응원해!!!”, 최우수상은 김순복(76,요촌동), 장말녀(91,요촌동), 우수상은 전창환(73. 신풍동), 이장대(86,요촌동), 김옥예(74,성덕면), 박복례(73,황산동) 및 입선작 12작품이 등이 선정됐다.
대상을 수상한 김순자씨는 “나이 들어 몸은 늙어가지만 마음은 항상 청춘인 것처럼 살고 싶은 내 마음을 표어로 썼는데 이렇게 생각지도 못한 큰 상을 받게 되어 너무 감사드리고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공모전 시상식은 오는 13일 지역보장협의체 평가회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대상 1명 30만원, 최우수상 2명 각 15만원, 우수상 4명 각 5만원 총상금 80만원이 상장과 함께 수여된다.
김제시, 농산물 생산자-소비자 상생 워크숍 개최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2/05/20221205101746699392.jpg)
생산자-소비자 상생 워크숍[사진=김제시]
이번 워크숍은 지속가능한 먹거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안전먹거리 생산자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각자의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 상호소통 및 토론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나아가 매칭협업모델을 발굴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워크숍 주요 내용으로는 제주도 내의 △지역 먹거리 체계와 소비자 활동 사례 △소비자 교류 위한 생산자 활동 사례 △안전농산물의 기획생산 실천농가 견학 △안전농산물 생산 위한 노력과 인력 양성 사례 등이며 생산자와 소비자간 관계형성 및 협업모델 발굴 위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이대복 먹거리활력과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간 상호소통이 한층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다”며, “앞으로 김제시 농업인이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는데 모든 역량을 쏟을 수 있도록 농산물 판로 확보를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제시는 기획생산체계 구축 추진동력을 확보하고자 지난 5월에 행정, 농업인 등 기획생산 참여주체간 상생워크숍을 개최하였으며, 상생협력선언 통해 지역 기획생산 농업인 500명을 조직화하여 기획생산체계를 반드시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