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안전관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남테크노파크 등 11명으로 구성해, 경남 첨단안전산업 생태계 조성, 연구기획과제 발굴, 중소기업 기술지원 등을 공동협력한다. [사진=창원시]
정부는 재난이나 각종 사고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기술·장비 등을 개발·생산·유통하거나 관련된 서비스 제공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1월 5일부터 '재난안전산업 진흥법'을 시행했다.
이에 경남도는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올해 신규사업으로 ‘첨단안전산업 기업육성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지난 11일 첨단안전산업 육성자문위원회를 발족했으며, 연 4회(필요시 수시 개최) 운영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국토안전관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남테크노파크 등 11명으로 구성해, 경남 첨단안전산업 생태계 조성, 연구기획과제 발굴, 중소기업 기술지원 등을 공동협력한다.
앞으로, 경남도는 제조산업(무인이동체, ICT융합, 첨단센서) 기업들의 첨단안전산업 업종전환 유도와 창업기업 인큐베이팅,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성장 유망 기술을 확보한 기업이 정부 연구개발(R&D) 사업을 연계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첨단안전산업은 시설물 안전, 건설 안전에 관련, 센서, 드론, 로보틱스, 정보통신기술(ICT) 등을 적용한 첨단기술을 활용해 사람이 수행하기 어려운 임무를 수행하는 모든 산업을 의미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