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호 출산제는 여성이 신원을 밝히지 않고도 출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최근 출생신고 없이 태어난 영아가 살해·유기된 사건을 계기로 필요성이 대두됐다.
제정안은 여성이 사회·경제적인 사정에 따라 익명으로 출산하면 지방자치단체(지자체)가 아동의 출생신고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산모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되, 출생 기록은 충실히 남기도록 규정했다. 현행 입양 시스템과 유사하게 추후 친모와 자녀의 동의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번 법안 통과로 보호 출산제와 ‘의료기관 출생 통보제’를 함께 도입할 수 있게 됐다. 의료기관 출생 통보제는 부모가 고의로 출생신고를 누락하지 못하도록 의료기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통해 지자체에 출생 정보를 통보하는 제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