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4일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앞서 OECD는 지난 9월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당초 전망보다 0.1%포인트 하향 조정한 2.5%로 예측한 바 있다. 이번 전망에서는 9월 전망보다 0.2%포인트 낮춰 잡은 2.3%로 예상했다.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0.1% 증가에 그친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내년 전망 역시 하향 조정됐다. OECD는 5월과 9월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2.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이번 전망에서는 0.1%포인트 내린 2.1% 성장을 점쳤다.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전망치인 2.0%보다 0.1%포인트, 한국은행 전망치인 1.9%보다는 0.2%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2026년 경제는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의 전망치(1.8%)보다 0.3%포인트 높은 것이다.
OECD는 "견조한 글로벌 수요가 수출을 지탱하고 금리 하락과 실질임금 상승으로 올해 말부터 민간 소비가 증가할 것"이라며 "2025년에는 2023~2024년의 세수 부족이 부분적으로 회복돼 재정 건전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또 "물가상승률의 경우 단기적으로 목표를 하회하고 실업률은 낮게 유지되는 가운데 여성·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가 고용을 증가시킬 것"이라며 "연금개혁과 함께 재정 준칙이 빠른 고령화로 인한 지출부담 완충에 도움을 주고 이민이 노동력 부족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노동시장 개혁이 일자리 매칭을 개선하고 자녀양육의 기회비용과 노인빈곤을 낮출 수 있다"고 부연했다.
내년 세계 전망은 상향 조정…"무역 불확실성은 하방 요인"
세계 경제는 올해 3.2%, 내년 3.3% 성장을 점쳤다. 올해는 9월 전망과 동일하지만 내년은 0.1%포인트 높여 잡은 것이다. 세계 경제가 회복력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무역이 상승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다만 하방 요인으로는 지정학적 위험과 확대된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무역정책 불확실성, 지연된 물가상승률 완화에 따른 금리 인하 제약, 금융시장의 급격한 가격조정, 비은행 금융기관의 자산 확대로 인한 금융시장의 취약성 증대, 부동산 가격의 급격한 하락 가능성 등을 꼽았다.
OECD는 "통화정책을 향후 지속적으로 완화하더라도 데이터에 기반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며 "공공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재정 건전화 노력과 미래 성장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한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이 필요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