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 CF연합은 18일 '2024 CF연합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콘퍼런스에는 산업부 안덕근 장관, CF연합 이회성 회장, 노부오 타나카 전(前)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 데이비드 샌들로우 전 미국 에너지부(DOE) 차관보 등 국내외 기후·에너지·산업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CFE 이니셔티브'는 '특정 에너지원'(수단)이 아닌 '탄소 감축'(목적) 달성을 위한 기술중립적인 캠페인으로서 지난해 9월 한국이 국제사회에 제안한 바 있다.
콘퍼런스 참석자들은 인공지능(AI)·첨단산업으로 인해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현 시점에 CFE 이니셔티브는 공급안정성, 비용효과성 측면에서 기업들에게 유리하며 사용전력(Scope2) 외에도 산업공정(Scope1)의 무탄소 전환 실적을 포괄적으로 인정하는 만큼 제조업·다(多)배출업종 중심의 한국이 오히려 글로벌 규범을 주도하는 데 유리하다는 데 입장을 같이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우리나라가 'CFE 이니셔티브'를 국제사회에 제안한 지 1년여 기간 동안 12개 국가·국제기구의 지지와 함께 5개 국가·국제기구가 참여하는 'CFE 글로벌 작업반'이 출범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다양한 무탄소에너지를 포괄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국제사회 공감대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말했다.
노부오 타나카 전 IEA 사무총장과 데이비드 샌들로우 전 DOE 차관보, 에릭 깁스 미국 청정에너지구매자연합(CEBA) "세계 에너지 소비구조의 청정화와 AI 등 첨단산업의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재생·원전 등 다양한 무탄소 전력의 공급능력을 얼마나 확충할 수 있는지가 미래의 국가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될 것"임을 역설했다.
또한, 앙리 파이에르 국제원자력기구(IAEA) 경제분석 부장은 "원전을 포함한 저비용의 청정전력이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의 필수 요소"라고 강조했다.
그 밖에도 국내·외 기업과 전문가들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공급망 청정전력 구상(MS), △반도체·철강 산업의 탈탄소 전략(삼성전자, 포스코) 등 첨단·주력산업의 탄소중립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한편 △미국의 전력 탈탄소화 방안(미(美) 국가재생에너지연구원(NREL)) △청정수소 활용 조기화(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의 CCUS 잠재력 활용(권이균 공주대 교수) 등 다양한 무탄소에너지 공급 확대 필요성과 현재 기술 수준, 정책과제 등을 소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