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거래가 늘면서 국내 인구이동이 4년 만에 반등했다. 타 권역에서 수도권으로 유입된 인구는 직전년보다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수도권 순유입 추세가 지속됐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4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 이동자는 628만3000명으로 전년 대비 2.5%(15만5000명) 증가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도 12.3%로 0.3%포인트 늘었다.
국내 인구이동률은 1990년대 20%대를 웃돌았으나 점차 감소해 지난 2016년 14.4%로 15%를 밑돌았다. 이후 2020년 15.1%로 깜짝 반등했으나 감소세가 이어졌고 지난해 반등했다.
지난해 인구이동이 증가한 원인에 대해 온누리 통계청 인구추계팀장은 "장기적으로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로 인해서 이동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라며 "다만 지난해 1월에서 11월까지의 주택 매매량이 14.7%, 7만6000건이 늘어 이 부분이 이동자 수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령별 이동률은 20대(23.9%)와 30대(21.0%)에서 높고, 6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낮았다. 전년대비로는 20대(1.1%포인트), 30대(0.9%포인트), 10세미만(0.6%포인트) 순으로 이동률이 증가했다.
시도별 전입률은 세종(15.7%), 대전(13.7%), 인천(13.3%) 순으로 높고, 전출률은 세종(15.0%), 대전(13.8%), 서울(13.6%) 순으로 나타났다.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6만4000명), 인천(2만6000명), 충남(1만5000명) 등 5개 시도였다. 경기, 세종은 전년대비 순유입 규모가 증가했고 인천, 충남, 충북은 감소했다.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4만5000명), 부산(-1만4000명), 경남(-9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인구이동 사유는 주택(34.5%), 가족(24.7%), 직업(21.7%) 순으로, 총이동 사유의 80.9%를 차지했다. 주택·가족사유로 인한 이동자 수는 증가했고 직업 사유로는 감소했다.
수도권 집중화 현상도 여전했다. 2017년부터 순유입으로 전환된 수도권 순유입 인구는 지난해 4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2000명 줄었다. 중부권도 1만6000명 순유입됐지만 전년보다규모는 1000명 감소했다. 호남권은 3000명이 늘어난 1만8000명, 영남권은 7000명이 늘어난 4만명의 순유출을 보였다.
권역별로 수도권은 중부권(-3000명)으로 순유출, 호남권(1만2000명), 영남권(3만4000명)에서 순유입됐다. 중부권은 수도권(3000명), 호남권(5000명), 영남권(8000명)에서 모두 순유입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