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이 연결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8.0% 감소했다고 3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조 6999억원으로 전년 대비 22.3% 감소했다. 배터리소재사업은 매출 2조 3399억원, 영업손실 369억원을 기록했다.
양극재 사업은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증가와 전기차 신모델용 제품 공급 개시에 따라 고부가 제품인 하이니켈 제품 중심으로 판매량이 전년대비 소폭 증가했다. 다만 리튬, 니켈 등 주요 원료가격 하락으로 판매가가 크게 하락하며 매출은 전년대비 30.4% 감소한 2조 1856억원을 기록했다. 일부 제품 및 원료 불용재고에 대한 평가손실 436억원 계상으로 수익성도 감소했다.
음극재 사업 역시 중국산 저가제품 공세로 판매량 등이 감소하며 매출이 전년 대비 30.4% 감소한 1543억원을 기록하고 영업이익은 적자로 돌아섰다. 기초소재사업에서는 매출 1조 3600억원, 영업이익 376억원을 기록했다. 내화물은 전로 수리 증가로 이익이 늘었으나 화성·라임(생석회)에서는 고정비가 증가하며 수익성이 저하됐다.
포스코퓨처엠은 자산가치 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업현황을 선제적으로 반영, 손상차손을 인식하며 당기순손실 2313억원을 기록했다.
포스코퓨처엠은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해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할 예정이다. 시장수요 위축과 더불어 주요 시장인 미국의 새 행정부 출범 등 글로벌 정책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면서 포스코퓨처엠은 선제적 위기 대응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에 대비하겠단 포부다.
특히 생산성 혁신과 함께 R&D 강화로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화에 나선다. 프리미엄 제품인 하이니켈 양극재 외에도 고전압 Mid-Ni, LMR, LMFP 양극재 등 중저가 신제품 개발과 함께, 음극재에서도 고부가제품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차세대 전지용 소재 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미래 배터리 산업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는 전고체전지용 양극재뿐만 아니라 건식 전극용 양극재, 리튬메탈 음극재 등도 선행 개발해 고객사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고 있다.
앞서 지난달 17일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사운영회의 직후 전 임원과 함께 비상경영 계획을 공유하고 제조·사업 경쟁력 강화와 위기 극복에 대한 의지를 다진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엄 사장은 "제조 경쟁력 강화와 혁신적인 조업 역량을 확보하는 데 매진하고, 회사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투자사업은 지속 검토해 나가되 비핵심자산은 과감하게 조정해 나가는 등 회사 경영진들은 주요 경영 아젠다들을 철저하게 수익성 확보 관점에서 검토해 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