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2025 CES 인사이트] 구윤철 서울대 교수 "SW 혁신에 집중할 시기…韓 AI 대전환 나서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진영 기자
입력 2025-02-12 1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아주경제·AJP 주최 '2025 CES 결과보고 세미나' 12일 개최

  • 구윤철 교수 'CES 2025로 본 글로벌 혁신 동향과 시사점' 발표

구윤철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특임교수前 국무조정실장가 CES 2025로 본 글로벌 동향괴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구윤철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전 국무조정실장)가 'CES 2025로 본 글로벌 동향괴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대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하드웨어도 중요하지만 소프트웨어 혁신에 더욱 집중해야 할 시기라는 의견이 나왔다. 특히 내년 CES에서는 한국이 AI 자동차·AI TV 등 AI 활용 제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SW 혁신에 매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구윤철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전 국무조정실장)는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아주경제신문·AJP 주최로 열린 '2025 CES 결과보고 세미나'에서 'CES 2025로 본 글로벌 혁신 동향과 시사점'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올해 CES에서 주목할 만한 기술 동향으로 △사용자 생성 디자인 △접근성 및 이동성 격차 해소 △AI 포용성 등을 꼽았다. 

특히 그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기조연설을 설명하면서 "AI칩에서 피지컬 AI로의 전환을 확인했다"면서 "엔비디아 역시 피지컬 AI로 에이전트 로봇·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주행차 등 3대 로봇을 개발 중이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 CES 역시 AI가 중심이었다고 강조했다. 구 교수는 "현실 셰계에서 급속한 AI 대전환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로봇틱스도 AI로봇과 휴머노이드 AI 로봇으로 발전하고 있고, 모빌리티 역시 거대언어모델(LLM)을 접목하거나 자율 주행 로봇으로 진화 중이다. 헬스케어 분야 역시 인간의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해 AI가 접목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로봇은 물론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모든 분야에서 AI가 중심이고, 디지털 전환의 중심인 AI를 현실 세계에 어떻게 적용하느냐가 중요해졌다는 설명이다. 

CES 2025에서 한국의 성과도 높이 평가했다. 올해 4500여 개 참여 기업 중 한국이 1000여 개에 달했다. 미국이 1500개로 가장 많았고 중국이 1300개, 한국이 세 번째로 많았다. 특히 LG와 같은 대기업은 물론 중소·벤처기업, 공공기관 등 수많은 기업이 참여했으며, CES혁신상 461개 중 한국이 210개를 수상하기도 했다. 

구 교수는 "한국에서는 LG는 물론 삼성, SK 등 많은 기업들이 나왔는데 벤츠 자동차는 없었다"면서 "올해 처음으로 나오지 않았는데, 이는 미래 산업의 운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잣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 기업들의 역동성을 느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다만, 올해 CES에선 눈에 띄는 혁신 제품이 없었다면서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는 "상상을 뛰어넘는 혁심 제품 출시는 없었으나 AI 대전환을 통한 미래 혁신의 방향을 알 수 있었다"면서 "기업, 사물, 생활, 행정 등 전반에 생성형 AI를 접목하고, 한국 기업에서 혁신적인 AI 에이전트를 선도할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기업들이 딥시크를 능가하는 충격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년 CES에선 AI를 접목한 혁신 제품이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 교수는 "한국이 AI 자동차, AI TV 등을 선보일 수 있도록 혁신에 매진해야 한다"면서 "대한민국 AI 대전환을 위해선 국내 기업, 대학, 정부 등 모든 곳에 AI를 접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하드웨어 혁신도 중요하지만 AI의 활용·적용·응용을 위한 SW 혁신에 보다 매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