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로이터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3/20250213082434539930.jpg)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12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옷돌면서 투매 물량이 쏟아졌지만 저가 매수세가 낙폭을 빠르게 줄였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5.09포인트(-0.50%) 내린 4만4368.56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전장보다 16.53포인트(-0.27%) 내린 6051.97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6.09포인트(0.03%) 오른 1만9649.95에 장을 마쳤다.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전 품목 수치와 근원 수치가 모두 예상치를 상회하며 가파르게 상승하자 증시가 충격을 받았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1월 CPI는 전월 대비 0.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8월의 0.5% 상승 이후 최대치며, 시장 예상치 0.3% 상승도 웃도는 수치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잘 나타내는 근원지수 상승률은 3.3%로, 작년 하반기 이후 비슷한 수준에 머물고 있음이 재확인됐다.
인플레이션 둔화세의 정체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추가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공언한 가운데 1월 소비자물가 지표는 연준의 추가 인하 기대감을 더욱 낮추는 요인이 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1월 CPI가 발표된 직후 3월 기준금리 동결확률은 97.5%까지 뛰었다.
웰스파고의 사미르 사마나 글로벌 주식 및 실물 자산 총괄은 “예상보다 더 뜨거운 CPI는 너무 뜨거운 인플레이션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을 확인시켜줬다”며 “위험 시장은 더 오를 수 있겠지만 지난 2년보다 더 순탄치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 충격에도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주가지수는 빠르게 낙폭을 줄였다. 대형 기술기업은 등락이 엇갈렸다.
인공지능(AI) 칩 대장주인 엔비디아는 이날 1.25% 하락했다. 아마존(-1.65%), 알파벳(-0.92%). 마이크로소프트(-0.58%)도 약세를 보였다. 반면 최근 주가가 약세를 보인 애플(1.83%)과 테슬라(2.44%)는 강세로 마감했다.
테슬라가 상승하자 다른 전기차도 일제히 랠리했다. 리비안은 0.32%, 루시드는 6.69%, 니콜라는 3.81% 각각 올랐다.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협상을 본격화할 것이라는 소식에 원유 공급이 원활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에너지 업체들은 동반 하락했다. 엑손모빌이 3.01%, 셰브런은 1.61% 각각 내렸다.
최근 급락하던 양자컴퓨터 종목들은 반등했다. 디웨이브퀀텀은 13.32% 폭등했고 리게티컴퓨팅은 6.62%, 퀀텀컴퓨팅은 4.96% 각각 급등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