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취업자가 한 달 만에 반등했지만 건설업 취업자가 역대 최대 폭 감소를 나타냈고 청년층(15~29세) 취업자도 큰 폭으로 줄었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월 15세 이상 취업자는 2787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3만5000명 증가했다.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 영향으로 지난해 12월 5만2000명 줄어들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보건복지·공공행정 취업자가 줄었던 것이 직접·노인 일자리 사업이 재개되면서 회복됐다"라고 말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 취업자가 16만9000명 줄며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는 건설 경기 불황 영향으로 9개월째 줄고 있으며 감소 폭도 확대되는 모습이다.
제조업 취업자도 5만6000명 줄었다. 반도체 수출 호황에도 작년 7월 이후 7개월째 감소세다.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1만9000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9만8000명) 등은 취업자가 늘었다.
연령별 취업자 수는 60세 이상·30대가 각각 34만명, 9만8000명 증가했고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모두 감소했다.
청년층 취업자는 21만8000명 줄며 2021년 1월(-31만4000명) 이후 최대폭 감소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44.8%로 1.5%포인트 하락하며 2021년 이후 4년 만에 낙폭이 가장 컸다.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력직 채용 비중이 커진 점이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50대 취업자는 1만4000명 줄며 2021년 2월(-13만9000명) 이후 약 4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은 건설경기 악화, 내수 부진 등 영향으로 건설업·부동산업·도소매업에서 50대의 고용이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1.0%로 1년 전과 같았다.
실업자는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늘면서 1년 전보다 1만1000명 늘어난 108만3000명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3.7%로 1년 전과 같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