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농업 이끄는 청년농] 농촌 빈집, 관광자원으로 발전…지역 예술·문화 공간으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권성진 기자
입력 2025-02-23 1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개성 살리기에 유리하다는 접근…리모델링하면 매력적

  • "상반기 중 특별법 발의…여야 모두 관심"

 
사진
리모델링하기 전 빈집(왼쪽)으로 남아 있던 공간을 고결스테이가 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사진=고결스테이 제공]
청년농은 농촌의 유휴자원으로 불리던 '빈집' 활용에 적극적이다. 이들은 빈집에 새옷을 입혀 지역 내 관광자원으로 발전시키고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빈집 감축으로 농촌 공동화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부 목표와도 발맞추고 있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빈집 감축을 목표로 하는 정부 정책에 맞춰 이를 활용하는 청년농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농 입장에서 빈집은 새집보다 매입 비용이 적게 들고 개성을 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인테리어를 통해 천편일률적인 새 건물보다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다. 

그동안 농촌의 빈집은 골칫거리였다. 말 그대로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방치된 집을 칭하는 빈집은 2023년 기준 전국 농촌에서 약 6만5000가구로 집계됐다. 농촌의 빈집은 대개 이농현상으로 많이 발생하는데 공가로 방치되면 사람이 살 수 없는 폐가로 전락한다. 이 때문에 빈집은 농촌 슬럼화를 부추기는 존재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청년농은 빈집의 가능성을 보며 자원으로 활용하는 모습이다. 경북 문경시 가은읍에서 고결스테이를 운영하고 있는 구자원 대표는 빈집의 가능성에 주목했다. 고결스테이는 빈집을 숙박과 티클래스가 이뤄지는 문화공간으로 바꿔 성공한 사례다. 

구자원 대표는 "이곳은 과거 대장간이었지만 기능을 상실해 20년 정도 빈집으로 방치돼 있었다 그럼에도 대들보와 서까래, 툇마루 등은 남아 있어 리모델링을 하면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았다"며 "문경에 유명한 한지나 도자기를 활용해 문화공간이 가능한 독채민박으로 만들었고 현재 가동률은 70%정도 된다"고 소개했다. 
 
의성
경북 의성군에 있는 워케이션 공간인 금수장. [사진=메이드인피플 제공]
빈집이 오히려 개성을 만들기에 새 건물보다 유리하다는 평가도 있다. '메이드인피플'은 경북 의성군에 오래된 다방 건물을 리모델링해 워케이션을 위한 공간인 '금수장'으로 만들었다. 정명석 메이드인피플 대표는 "최근 워케이션 수요가 늘면서 방문자가 늘고 있다"며 "공간을 모던하게 짓는 것보다 기존 감성을 살려서 리모델링하는 게 매력적으로 보인다는 점에 착안했다"고 설명했다.

경북 상주시 명주정원과 충남 부여군 규암마을도 빈집을 활용해 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명주정원은 찜질방 건물을 활용해 카페 겸 문화공간으로 만들었고 연간 18만명이 방문할 정도로 문전성시를 이룬다. 규암마을은 버려진 담배가게와 근처 건물을 리모델링해 서점과 찻집 등으로 재탄생시킨 문화 공간이다. 

정부도 청년농의 빈집 활용을 돕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정부는 올해 빈집 은행 활성화 지원 사업과 농촌 소멸 대응 빈집 재생 지원 사업에 각각 13억5000만원, 1억8900만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상반기 중으로 '농촌 빈집 관련 특별법'도 발의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김소형 농식품부 농촌재생지원팀장은 "여야를 막론하고 국회에서 특별법에 대한 관심이 많다"며 "상반기 중으로 법안을 발의해 하반기에는 본격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