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가전제품을 제조‧공급할 때 활용하는 '살생물제 안전관리 지침'을 마련했다.
환경부는 한국소비자원, 가전업계와 함께 마련한 '살생물제 안전관리 지침'을 24일 화학제품안전포털에 공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지침은 지난해 7월 정부와 한국소비자원, 가전업계 등으로 구성된 '가전제품 살생물제 안전관리 협의체'가 매달 회의를 통해 가전제품의 살생물제 사용 현황과 안전 관리 방안을 논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립됐다.
2028년부터 승인된 살생물제품만을 사용해야 하는 관련 의무가 적용되기 전에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지침은 가전업계가 완제품과 부품을 제조·공급하는 과정에서 적법하게 승인된 살생물제를 사용하고, 공급망 내 투명한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업계 스스로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데 활용한다.
환경부는 이번 지침을 바탕으로 올해 가전제품 분야 살생물제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또 생활가전 완제품 업체에 부품·원료를 공급하는 협력업체에도 살생물제 안전 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상담(컨설팅)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업계 특성을 고려한 살생물제 안전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자발적 참여에 기반한 민관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며 "자동차, 가전제품에 이어 섬유·침구 분야 등 대상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살생물제 안전관리 체계의 기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