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말 준공 예정이던 서울양자기술융합지원센터(센터) 준공 시기가 2년 늦춰졌다. 태동기인 양자 산업에 세계 주요국이 경쟁적으로 육성책을 펼치는 가운데 공공 인프라 지원이 시급하다는 우려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주택도시공사(SH)는 오는 4월 말~5월 초 착공을 목표로 센터 시공사를 모색하고 있다.
2027년 3월 준공할 예정이다. 당초 예정이었던 2025년보다 준공시기가 2년 늦어졌다.
시는 2023년 말 양자기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홍릉 R&D지원센터에 양자 산업 생태계를 위한 공간을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바이오 산업을 중심으로 고시·설시설계 등을 계획한 후 양자 산업 내용이 뒤늦게 추가되면서 행정 절차가 지연됐다. 공사비가 예상보다 70억여원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센터는 3층 규모로 △양자 패키징실 △양자 학회 사무국 △연구자 교류 공간 등으로 채워진다. 기술 인프라 공백을 메우고, 연구자들이 자연스럽게 교류할 환경을 만들려는 취지다.
세계 주요국이 양자 분야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가운데 공공의 인프라 및 공간 투자가 시급하다는 우려다. 시 관계자는 “대학에서 창업하시려는 분 등 연구자들에게 공간 지원이 시급한 것은 사실”이라며 "서울 주요 대학들의 연구 성과를 실질적으로 구현해 보는 시도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자기술 스타트업은 대학 연구진이 연구과제에서 산업 아이템을 발굴하거나, 바이오·보안 등 타 산업군에서 양자 기술과 접목하는 경우로 크게 나뉜다. 한상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장은 “전환기업이라고 표현을 하는데 예를 들어 기존 광소자 부품을 하던 기업이 광통신 붐이 사그라들자 새 사업 아이템으로 양자에 눈을 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서울은 주요 대학 연구진과 기업이 포진해 있는 만큼 산·학·연·관이 자연스레 모여들 생태계가 시급하다. 단발성 학술대회로는 시너지를 내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 단장은 “양자 분야가 블루오션이 될 거라고 생각하는 IT 기업들이 많다”며 “기업들이 양자 연구자들과 같이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양자 기술이 산업 태동기인 만큼 기술 확보에 뒤처질 경우 아예 도태될 수 있다는 우려다. 미국은 지난해 양자컴퓨팅 등 첨단 기술 관련 수출 통제 계획을 발표하는 등 세계적으로 기술 보호 장벽이 높아지는 추세다. 시 관계자는 “우리 기술로 만든 양자 컴퓨터나 알고리즘 개발 같은 것들을 시도를 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시에 따르면 서울지역 양자기술 스타트업은 60여개에 불과하다. 시가 정책 목표로 내세운 2026년까지 150개 확대에 크게 못 미친다. 안도열 서울시립대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교수는 “국내는 양자 산업 생태계가 형성이 안된 상태”라며 “미국이 기술을 선점·독점하면 따라가기 굉장히 어려울 것”이라고 꼬집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