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시장에 불확실성이 높아져 내 집 마련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전세가격 상승, 공급 부족 우려가 맞물리면서 하반기 서울 집값이 상승 흐름을 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실수요자들에게 입지가 우수하거나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단지를 중심으로 청약에 나서거나 경매 등을 활용할 것을 추천했다. 반면 지방은 지역 경기 침체로 거래 절벽이 이어지며 미분양 매물이 해소되기 전까지 신중하게 거래할 것을 제언했다.
27일 아주경제신문이 부동산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내 집 마련 전략에 대한 의견을 청취한 결과 대다수 전문가들은 주택 구매 시 상반기에 매수하는 편이 나을 것으로 봤다. 공급 부족 우려와 하반기 금리 인하 등 가격 상승 요인이 나타나기 전에 가능한 한 서둘러 매수하는 게 좋다는 것이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토허제 이후 강남 중심으로 오른 집값이 서울 전역으로 퍼지고 있다"며 "공급 감소로 인한 입주 공백이 내년에 본격화될 예정이고, 하반기 이후 금리 인하와 전세 수급 불균형 등 가격 상승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올 상반기가 내 집 마련을 위한 적기"라고 말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 리서치랩장은 "금리 인하와 아파트 입주 감소로 전세가격 상승 압력이 커지는 하반기가 상반기보다 거래량이나 가격 움직임 면에서 더 활기가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금융권의 가계대출 규제 등 변수가 있는 만큼 ‘영끌’은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함영진 랩장은 "오는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도입이나 금융권 가계대출 규제가 매수세를 떨어뜨리는 변수가 될 수 있다"며 "서울 강남권과 한강변 일대 등 대기 수요가 탄탄한 지역은 연내 가격 강보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인기 지역에서 무리한 대출을 통한 영끌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유망 투자처로는 서울 등 인기 지역의 분양가 상한제 단지 청약과 신축 입주권, 경매 등을 꼽았다. 시장 침체로 거래가 줄어들고 청약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지금이 무주택자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청약 시장이 침체된 상황이지만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나 입지가 우수한 민간 분양은 여전히 메리트가 존재한다"며 "경쟁률이 낮아진 지금은 가점이 낮은 무주택자에게 좋은 기회"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 분양 외에도 신축 입주권, 급매물, 준신축 경매 등 시세보다 저렴한 실거래가 형성된 시장을 노리는 실물 중심의 선택지 확대 전략도 병행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방은 미분양 매물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투자에 신중해야 하고 실수요자는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선호 지역을 관심 지역으로 둘 것을 추천했다. 지방을 중심으로 거래절벽이 심화되는 상황에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진다는 관측이다.
윤수민 NH농협 부동산전문위원은 "지방은 수도권 주택 수요 쏠림 현상과 함께 미분양 물량이 많이 쌓인 상태로 연내 매수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며 "실수요자는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양극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학군지가 포함된 신도시나 상급지를 중심으로 이동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