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한국기업 복귀 움직임···LG, '복귀 기업 1호' 되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은별 기자
입력 2025-04-01 16: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푸틴 "러시아를 떠난 일부 기업이 복귀할 계획이 있다"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한 음식 배달원이 지난달 26일 전 러시아 군 애국 게임 자르니차 20 광고가 나오는 전광판 앞에서 주문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한 음식 배달원이 지난달 26일 전 러시아 군 애국 게임 '자르니차 2.0' 광고가 나오는 전광판 앞에서 주문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러시아에서 한국 기업의 러시아 시장 복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일각에서 LG전자가 러시아 시장에서 활동을 재개하는 ‘1호 서방 기업’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러시아 가전업체 재키스 설립자인 구세인 이마노프는 31일(현지시간)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에 “LG전자는 아마도 러시아에 공식 복귀하는 첫 해외 대형 공급업체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LG전자가 러시아 세탁기·냉장고 시장의 약 25~26%를 차지했던 만큼 러시아가 주요 판매처였고 2022년부터 사무실과 공장 직원을 그대로 유지했다”며 복귀를 전망했다.
 
러시아 전자제품 유통업체 마블 디스트리부치야의 라리사 세니나 이사는 코메르산트에 “LG전자가 러시아에 완전히 복귀한다면 몇 년 안에 냉장고, 세탁기, TV 부문에서 20~3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LG전자가 모스크바에 있는 제조 공장의 운영을 일부 재개했으며, 이곳에서 생산된 제품이 독립국가연합(CIS) 국가로 공급된다고 러시아 리아노보스티 통신은 보도했다.
 
앞서 LG전자를 비롯한 한국과 서방의 글로벌 기업은 2022년 2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발발한 이후 각종 대러 제재로 인해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하거나 사업을 중단했다.
 
하지만 최근 러시아가 미국과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 나서면서 서방 기업의 러시아 복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지난 18일 러시아 재계 행사에서 “러시아를 떠난 일부 기업이 복귀할 계획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현지에서는 러시아 시장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던 LG전자를 비롯한 한국 기업들이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달 초 타스 통신은 러시아 자동차 전문지 자룰룜의 막심 카다코프 편집장을 인용해 제재가 해제되면 현대차와 기아 등 한국 자동차 업계가 가장 먼저 복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러시아 텔레그램 뉴스 채널 마시는 지난 28일 삼성전자가 칼루가 공장 등에서 대규모 직원 채용에 나섰다고 전했다. 이 외에도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 속옷 브랜드 빅토리아 시크릿 등이 최근 러시아 연방 특허청에 상표등록을 신청하며 러시아 시장 복귀를 준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