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모빌리티쇼] 완성차만 있나…자동차 부품업계도 기술력 총동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선훈 기자
입력 2025-04-04 16: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윤선훈 기자
서연이 4일 '2025 서울모빌리티쇼' 부스에서 선보인 콘셉트카 '오아시스'의 모습. [사진=윤선훈 기자]
오는 13일까지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는 완성차 업체뿐 아니라 자동차 부품업체들도 자체 기술력을 선보이며 관람객들을 맞았다.

4일 서울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서연, 모트렉스, 코리아에프티, 현대모비스 등의 업체들이 이번 전시회에 부스를 차렸다.

서연은 이번 전시회에서 콘셉트카인 '오아시스'를 내세웠다. 계열사인 서연이화를 통해 주로 자동차 범퍼·시트·도어트림 등을 제작하는데, 이번에는 완성차 형태의 콘셉트카를 전면에 배치했다. 서연이 외부 전시회에 콘셉트카를 출품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프트웨어중심자동차(SDV)와 전기차 등 미래차가 대세가 되는 상황에서, 보다 미래지향적인 디자인 콘셉트를 선보여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등으로 완성차 업체들과의 협업 보폭을 더욱 넓히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오아시스'라는 이름에 걸맞게 서연은 해당 콘셉트카가 주행과 휴식·명상을 모두 아우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각 모드별로 주행·휴식·명상에 특화된 기능을 통해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선 자동차의 비전을 나타냈다. 현장에서 만난 회사 관계자는 "콘셉트카 자체를 양산한다기보다는 이러한 디자인 수행 역량이 충분히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서연은 해당 콘셉트카에 '비전 2030'이라는 이름도 붙였는데 2030년을 바라본 미래지향적인 차량이라는 뜻을 담았다.
 
윤선훈 기자
모트렉스가 4일 '2025 서울모빌리티쇼' 부스에서 선보인 'CV1-KINDER'의 모습. [사진=윤선훈 기자]
모트렉스는 국내 최초의 친환경 중형 승합 목적기반차량(PBV)인 'CV1'을 공개했다. 현대차가 지난해 공개한 전동화 비즈니스 플랫폼 'ST1'에 기반을 두고 제작된 차량으로, 설계 단계에서부터 차량과 전장품을 승합 목적에 최적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 모듈형 구조를 채택해 상황에 따라 전고, 전장, 실내 공간 등에 변화를 주기 용이하다. 모트렉스는 본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기업인데 이번에 PBV 제작으로 더욱 보폭을 넓혔다.

이날 모트렉스는 CV1을 통해 제작된 수요응답형(DRT) 셔틀버스와 어린이 통학 차량(CV1-KINDER)를 전시하며 다양한 PBV의 활용 사례를 알렸다. 앞으로 CV1 모델을 기반으로 공공 부문 수요에 적합한 DRT 차량, 어린이 통학차량, 구급차, 경찰작전차 등 다양한 PBV 차량을 제공할 계획이다. 모트렉스의 자회사인 엠티알(MTR)의 천성재 대표는 "약 12개월의 개발 기간을 거쳐 6월 말 정식 판매 예정"이라며 "모듈화 개발 기법으로 개발 기간을 혁신적으로 줄였으며 향후 파생 모델도 6개월 내 개발 가능하다"고 말햇다. 

코리아에프티도 친환경 카본 캐니스터(Carbon Canister)를 중심으로 자사의 친환경 제품들을 소개했다. 카본 캐니스터는 차량 증발가스 제어장치 부품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코리아에프티의 카본 캐니스터는 세계 증발가스 법규 중 가장 강력한 규제인 북미 LEV-III와 티어3 법규를 만족하는 제품이다. 회사 측은 이와 함께 고글 형태의 개인용 모니터인 'V300i'도 함께 전시했다. 컴퓨터·게임기·스마트폰 등과 연결해 차량 내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폭넓게 활용 가능한 제품이다.
 
윤선훈 기자
모트렉스가 3일 '2025 서울모빌리티쇼' 부스에서 선보인 셔틀 로보버스 '아스트라 레오의 모습. [사진=윤선훈 기자]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들도 주목받았다. 대표적으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업인 트리즈는 자사 소프트웨어를 토대로 자율주행을 하는 6인승 셔틀 로보버스인 '아스트라 레오 P6'를 선보였다. 도시 내 단거리 이동 수단 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발한 차량으로 캠퍼스나 놀이공원 등 특정한 넓은 공간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콘셉트다. 트리즈가 오픈소스 기반으로 개발한 자율주행 SW 플랫폼 '오토웨어 유니버스(Autoware Universe)'가 탑재됐다. 카메라, 라이다 등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장애물, 차선, 교통 신호 등을 인식한다.

이와 함께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에서 회원사들과 손잡고 '자동차 부품 기술관'을 마련했다. 태양금속공업, 대동시스템, 유니크, 대한이연, JPC오토모티브, 덕일산업, 삼기, 우신공업 등 8개 업체가 참여해 자사 주력 부품들을 선보였다. 또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지난해까지 진행됐던 자율주행 셔틀 관련 실증사업에 참여한 2대의 PBV를 전시해 관람객들에게 소개했다. 이 중 'KAMO_U' 모델은 현재 광주광역시에서 실제 주행 중이다.

서울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 측은 "많은 부품기업들이 급변하는 모빌리티 산업 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서울모빌리티쇼를 통해 그간의 연구 개발 성과와 미래 가능성을 선보이게 됐다"고 말했다.
 
윤선훈 기자
한국자동차연구원이 4일 '2025 서울모빌리티쇼' 부스에서 선보인 자율주형 셔틀 PBV의 모습. [사진=윤선훈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