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는 5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3월 세계 식량가격지수가 127.1로 전달보다 0.2%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 지수는 2014~2016년 평균을 100으로 설정한 기준이며, 올해 들어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유지류 가격지수는 161.8로 전달 대비 3.7% 상승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23.9%나 높은 수치다. 팜유는 주요 생산국의 계절적 생산량 감소로, 대두유는 수입 수요 증가로 가격이 올랐다. 유채유와 해바라기유 역시 공급 부족과 수요 증가가 맞물리며 상승세를 보였다.
육류 가격지수는 0.9% 오른 118.0을 기록했다. 영국이 독일산 돼지고기 수입 금지를 해제하면서 돼지고기 가격이 상승했고, 소고기 역시 가격이 올랐다. 반면 가금육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곡물 가격지수는 2.6% 하락한 109.7로 집계됐다. 밀은 북반구 주요 수출국의 작황 우려 해소와 무역 긴장 고조에 따른 심리 위축으로 가격이 떨어졌다. 옥수수는 브라질 작황 개선, 아르헨티나 수확 본격화, 중국의 수입 수요 둔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쌀도 수입 감소와 수출 가능 물량 증가로 가격이 내렸다.
설탕 가격지수는 1.4% 하락한 116.9를 기록했다. 브라질 남부 사탕수수 재배 지역의 가뭄 해소와 국제 수요 약세가 영향을 미쳤다. 다만 인도와 브라질의 생산 전망이 불확실해 낙폭은 제한적이었다.
유제품 가격지수는 전달과 같은 148.7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로는 19.9% 상승했다. 치즈는 공급 안정과 수요 둔화로 가격이 1.8% 하락했지만, 버터와 분유는 생산 감소와 국제 수요 확대, 공급 제한 등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