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AI 특위 발대식..."기업 임원 AI 회의적인 시각 버려야"

  • 9일 'AI 특별위원회 발대식·대담' 행사

사진나선혜 기자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에서 조국혁신당의 'AI 특별위원회 발대식&대담' 행사가 열렸다. (왼쪽부터) 양수열 크라우드웍스 CTO, 이진선 인천광역시교육청 장학사, 박희서 상명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학생,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 [사진=나선혜 기자]

국내 인공지능(AI) 인재 확보를 위해서는 기업 의사결정권자에 대한 AI 인식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에서 조국혁신당의 'AI 특별위원회 발대식&대담' 행사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 양수열 크라우드웍스 최고기술책임자(CTO), 이진선 인천광역시교육청 장학사, 박희서 상명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학생 등이 참석했다.

양 CTO는 우리나라에서 AI를 도입하는 데 겪는 어려움을 의사결정권자의 AI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라고 지적했다. 양 CTO는 "밑에 직원이 AI가 좋다고 이야기해도 생산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려운게 우리나라의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조 단위의 제조업 기반의 회사가 소프트웨어 쪽 인재가 몇 십명 밖에 없다"며 "방산 등 주요 산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가 중요한 일을 해도 개발진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또 소프트웨어 역량 자체가 낮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기업에서 AI, 디지털 등에 대한 우선순위가 낮게 책정된다"고 꼬집었다.

양 CTO는 "제조 라인에 있는 기술 담당자들이 AI에 대한 이해가 없다"며 "개발자들이 제조 기업 등에서 2년 정도 버티다 일을 마음껏 하지 못해 국내 산업 환경에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한국을 떠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환경이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도 적용된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양 CTO는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에도 디지털 전환을 하기 위해 개발자를 채용하지만, 위와 같은 일이 반복된다"고 언급했다. 

개발자들에 대한 처우 문제도 대두됐다. 국내 개발자와 해외 개발자의 연봉 차이가 최대 2억 정도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양 CTO는 "최근 지인의 자녀가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빅테크에 취업했다. 연봉을 물어보니 35만불, 한화로 4억 정도"라며 "반면 국내 기업은 공식적인 것은 아니나 박사 학위를 받고 취업을 해도 연봉이 1억 5000만원정도에서 책정된다"고 했다. 

이를 위한 정부 차원에서 연구 개발(R&D)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새정부 차원에서 R&D 지원이 필요하고 저변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양 CTO는 "전 세계에서 AI 모델을 만들 수 있는 건 5개 정도 밖에 안 될 것"이라며 "우리는 굉장히 특화한 AI 모델을 만드는 것으로 방향을 바꿔야 한다. 그런 AI 모델을 만드는 포트폴리오나 저변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