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편의점에서 시민들이 식료품을 고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식품업계에 '가격 담합 조사' 칼을 빼 들었다. 최근 잇따른 가격 인상이 담합 때문인지 들여다보는 것이다. 식품업계는 비용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 가격 인상은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입장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는 전날 농심·오리온·롯데웰푸드·크라운제과 본사에 조사관을 보내 식품 가격 인상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앞서 한기정 공정위원장은 지난 7일 확대간부회의에서 물가 상승 요인이 된 식품 가격 인상과 관련해 "담합이나 불공정 행위에서 비롯된 것이 있는지 철저히 감시하라"고 간부들에게 지시한 바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작년 동월 대비 3.6%다. 가공식품 물가는 커피(8.3%), 빵(6.3%), 햄·베이컨(6.0%) 등이 주로 끌어올렸다. 공정위는 최근 빵, 과자 등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 과정에 주요 식품사가 짬짜미(담합)를 통해 가격을 올렸는지 조사 중이다.
한 위원장이 가격 담합을 언급한 지 일주일 만에 공정위가 조사에 나서자 식품업계의 당혹감이 커지는 모양새다. 업계는 가격 인상은 고환율·원재룟값·인건비 인상에 따른 결과일 뿐 담합과는 거리가 멀다고 입을 모았다.
업계 관계자는 "원래대로라면 지난해 가격 인상에 나섰어야 하나 당시 정부 물가안정에 동참하기 위해 그간 원재룟값 인상분을 감내해 온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환율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가격 인상은 불가피했다"고도 덧붙였다. 실제로 식품업체는 원재료를 수입에 의존하다 보니 환율이 10% 오르면 연간 세후 이익이 약 100억원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식품업계는 가격을 조정한 이유로 내수 침체 장기화, 경영비 부담 가중을 꼽았다. 한국식품산업협회는 "일부 수출 주도형 식품기업은 수출 호조에 힘입어 전년 영업이익이 증가했으나 내수 중심인 대부분 식품기업은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지난해 12월 급락한 이후 3개월 연속 기준선을 하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CCSI는 지난해 11월 100.7을 기록한 뒤 12월 88.2로 크게 떨어졌고 지난 1월 91.2, 2월 95.2로 상승세를 타다가 지난달 다시 93.4로 하락했다. CCSI는 100보다 높으면 낙관적, 100보다 낮으면 비관적이다.
또 협회는 최근 가격 인상이 정국 혼란을 틈타 이뤄졌다는 지적에 대해 "정국 불안과 상관없이 최근 몇 년간 가격 인상 자제와 환율, 원자재, 경영비 상승에 따른 불가피한 결정이었다"고 부연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당한 과정을 거쳐 원칙적으로 가격을 올렸더라도 정부가 조사에 나서면 기업은 압박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담합을 전제로 한 조사를 하고 나면 추후 가격 인상이 필요한 시점에 재차 정부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며 "수익을 내야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난처하다"고 부연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는 전날 농심·오리온·롯데웰푸드·크라운제과 본사에 조사관을 보내 식품 가격 인상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앞서 한기정 공정위원장은 지난 7일 확대간부회의에서 물가 상승 요인이 된 식품 가격 인상과 관련해 "담합이나 불공정 행위에서 비롯된 것이 있는지 철저히 감시하라"고 간부들에게 지시한 바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작년 동월 대비 3.6%다. 가공식품 물가는 커피(8.3%), 빵(6.3%), 햄·베이컨(6.0%) 등이 주로 끌어올렸다. 공정위는 최근 빵, 과자 등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 과정에 주요 식품사가 짬짜미(담합)를 통해 가격을 올렸는지 조사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원래대로라면 지난해 가격 인상에 나섰어야 하나 당시 정부 물가안정에 동참하기 위해 그간 원재룟값 인상분을 감내해 온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환율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가격 인상은 불가피했다"고도 덧붙였다. 실제로 식품업체는 원재료를 수입에 의존하다 보니 환율이 10% 오르면 연간 세후 이익이 약 100억원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식품업계는 가격을 조정한 이유로 내수 침체 장기화, 경영비 부담 가중을 꼽았다. 한국식품산업협회는 "일부 수출 주도형 식품기업은 수출 호조에 힘입어 전년 영업이익이 증가했으나 내수 중심인 대부분 식품기업은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지난해 12월 급락한 이후 3개월 연속 기준선을 하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CCSI는 지난해 11월 100.7을 기록한 뒤 12월 88.2로 크게 떨어졌고 지난 1월 91.2, 2월 95.2로 상승세를 타다가 지난달 다시 93.4로 하락했다. CCSI는 100보다 높으면 낙관적, 100보다 낮으면 비관적이다.
또 협회는 최근 가격 인상이 정국 혼란을 틈타 이뤄졌다는 지적에 대해 "정국 불안과 상관없이 최근 몇 년간 가격 인상 자제와 환율, 원자재, 경영비 상승에 따른 불가피한 결정이었다"고 부연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당한 과정을 거쳐 원칙적으로 가격을 올렸더라도 정부가 조사에 나서면 기업은 압박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담합을 전제로 한 조사를 하고 나면 추후 가격 인상이 필요한 시점에 재차 정부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며 "수익을 내야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난처하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