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美에 700조원 AI인프라 구축"

  • 백악관 "트럼프 효과가 실제로 나타난 것"

  • 트럼프 "가장 아름다운 단어인 관세 덕분"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엔비디아가 향후 4년간 파트너사들과 미국에서 최대 5천억 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날 블로그를 통해 이런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위해 100만 평방피트(9만3천㎡) 이상의 제조 공간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계획을 통해 AI 칩 제조뿐만 아니라 AI 슈퍼컴퓨터 등 AI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를 미국에서 생산할 방침이다.
 
엔비디아는 최신 AI 칩 블랙웰을 이미 애리조나 피닉스에 있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고, 앰코 테크놀로지, 실리콘웨어 정밀산업과 패키징 및 테스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텍사스에서는 폭스콘, 위스트론과 함께 슈퍼컴퓨터 제조 공장을 건설 중이며, 향후 12∼15개월 안에 대량 생산이 본격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엔비디아는 이번 생산이 미국 내에서만 제조되는 AI 슈퍼컴퓨터의 첫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AI 연산을 처리하는 데이터 센터에 사용된다. 또한 이 제조 시설의 설계와 운영을 위해 자사 기술을 활용해 공장의 디지털 트윈(가상 모형)을 만들고, 맞춤형 자동화를 위한 로봇도 자체 제작할 예정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미국 내 제조 역량을 확대함으로써 AI 칩과 슈퍼컴퓨터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맞추고 공급망을 강화하며, 회복력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적자 해소와 미국 내 제조업 복귀를 위해 주요 교역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시점에 나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반도체에 대한 새로운 관세 조치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피오나 신코타 시티 인덱스 분석가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이 바로 이것"이라며 "제조업을 미국으로 다시 이전하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이 약속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백악관은 성명을 통해 "이러한 산업의 국내 이전은 미국 근로자, 미국 경제, 그리고 미국 국가 안보에 모두 이롭다"며 "트럼프 효과가 실제로 나타난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도 "그들이 그렇게 한 이유는 11월5일 선거(지난 대선) 덕분이고, 사랑과, 하나님, 관계 다음으로 사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인 관세 덕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영광으로 생각하며 젠슨과 기여한 모든 사람들에게 감사하고 싶다"며 "관세가 없었다면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