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인태사령관 "북, 러에 탄도미사일·포탄 주고 첨단 방공무기 받을 것"

  • 퍼파로 사령관 "북러, 상대 약점 보완해 이익 도모하는 공생관계"

새뮤얼 퍼파로 인도태평양사령관 사진미 상원 군사위 홈페이지 갈무리
새뮤얼 퍼파로 인도태평양사령관. [사진=미 상원 군사위 홈페이지 갈무리]

북한이 러시아에 탄도미사일 수백기와 포탄 수십만발을 줬으며 그 대가로 지대공미사일(SAM)을 등 첨단 방공장비를 받을 것이라고 새뮤얼 퍼파로 미국 인도태평양사령관이 밝혔다.
 
1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포스트에 따르면 퍼파로 사령관은 지난 10일 미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북한 무기의 러시아 공급과 관련해 새로운 정보를 입수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한이 러시아의 전쟁 지원을 위해 러시아에 무기와 탄약을 공급하는 데 아무런 차질이 없다고 했다.
 
또 러시아가 제공한 방공 체계 유형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최상급보다 한 단계 낮은 급이라도 북한의 공중 방어 능력을 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퍼파로 사령관은 북·러 동맹을 “상대의 약점을 보완해 상호 이익을 도모하는 거래적 공생관계”라고 묘사했다.
 
그러면서 군사 협력 확대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위협을 넘어 미국, 한국, 일본 안보를 포함해 역내 안정을 위협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동안 KN-15 중거리 및 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 곡산 M-178/1989형 170mm 자주포, 대량의 포탄 등 북한의 무기 체계가 철도로 러시아로 이동하는 정황이 반복적으로 포착됐다.
 
체코 군사 전문지 ‘디펜스 앤 시큐리티’는 익명의 미 국방부 당국자가 “이것은 단순히 무기 거래가 아니며 서방 주도 질서에 맞서 싸우는 두 권위주의 정권의 전략적 제휴다. 우리는 이해관계의 위험한 수렴 과정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북·러는 파병을 계기로 ‘혈맹’ 수준으로 밀착 중이다. 외교뿐 아니라 경제, 문화, 보건 등 여러 방면에서 고위급 교류도 다방면으로 진행하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정상회담도 양국을 오가며 최근 2년간 연속으로 열렸다. 올해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과 회담을 위해 모스크바를 방문할 가능성도 크다.
 
특히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대가로 군사협력과 경제지원이 이어지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러시아가 북한에 평양 방공망 보강 장비와 대공 미사일을 지원했다고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밝히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