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스위스 대통령과 통화 중 격노…몇 시간 후 39% 관세 폭탄"

  • 블룸버그통신 보도…400억 달러 상품수지 불균형 해소방안 제시 않자 '버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카린 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격노한 뒤 스위스산 수입품에 39%라는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2일(현지시간) 미국의 대(對)스위스 상호관세가 지난달 31일 있었던 양국 정상 간의 통화를 통해 결정됐다고 보도했다.
 
양국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스위스 시간 오후 8시에 전화통화를 했다. 미국 워싱턴DC 시간으로 오후 2시였으므로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무역합의 시한이 10시간밖에 남지 않은 때였다. 만약 합의가 불발되면 스위스에 31%의 상호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었다.
 
스위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서 연간 400억 달러(약 56조원) 수준인 스위스의 대미 상품수지 흑자를 집중적으로 문제 삼으면서 스위스가 미국으로부터 돈을 훔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스위스 측의 조치를 요구했다.
 
그러나 켈러-주터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거부했다.
 
스위스 정부 측 관계자는 켈러-주터 대통령이 무역적자를 시정할 만한 어떤 제안도 내놓지 않았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크게 화를 냈다고 설명했다.
 
통화 종료 후 트럼프 대통령은 스위스에 대해 “8월 7일부터 39% 상호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에 발표했던 31%보다 오히려 훨씬 더 높다.
 
트럼프 대통령이 스위스산 상품에 39% 관세를 실제 적용하면 스위스는 관세율이 15%에 불과한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에 비해 훨씬 불리한 입장에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위스의 대미 수출액 중 60%를 차지하는 제약업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미국에서 롤렉스, 파텍필립, 오메가 등 스위스산 고가 시계를 구매하려던 사람들이나 이런 제품들을 판매하는 스위스 기업들과 미국 내 유통업체들도 큰 충격에 빠졌다.
 
AP통신에 따르면 스위스시계산업연맹은 스위스산 상품에 대한 미국의 39% 수입관세 부과 결정에 대해 “매우 실망했고 놀랐다”는 입장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