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5년 4월 21일자)

미국 관세 정책과 6월 조기 대선 등 국내외 경영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달하면서 재계도 생존을 위한 동아줄 찾기에 여념이 없는 모습이다. 주요 수출 기업들은 특히 트럼프 행정부를 중심으로 한 대미 네트워크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국내적으로도 정권 교체를 염두에 둔 인맥 확보전이 물밑에서 활발히 이뤄지는 분위기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미국발 관세 충격이 속속 도래하면서 대기업들도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미 라인 재정비에 한창이다. 4월 3일 자동차 품목관세, 5월 3일 자동차 부품관세, 10월 14일 자동차 운반선 관세 등 시계열별 관세 회초리를 맞고 있는 현대차그룹은 최근 공화당 소속인 4선 연방 하원의원 출신 드루 퍼거슨을 신임 워싱턴사무소장으로 전격 영입했다.
 
현대차그룹이 조지아주에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전기차 공장을 본격 가동하고,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제철소 건립을 발표하는 등 수십조 원대 투자를 집행 중인 만큼 미국 정계와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게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공장을 건설 중인 삼성전자는 지난해 해외 대관 조직 글로벌퍼블릭어페어스(GPA)팀을 실로 승격했다. 대외협력 수장은 2023년 말 인사에서 승진한 김원경 사장이 맡고 있다. 최근에는 로비 업체 '콘티넨털 스트래티지'와 계약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 보좌를 총괄하는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딸이 소속된 곳이다.

가전 사업 등과 관련해 제2의 '세이프가드' 사태 재연을 우려하는 LG그룹도 미국 워싱턴사무소 진용 재정비에 나섰다.
 
한 대기업 대관팀 관계자는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예측 불허로 전개되는 와중에 국내에서는 3년 만에 정권 교체 가능성이 비등하면서 각 기업 대관 조직별로 적임자 찾기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대관 업무 관계자는 "포섭이 가능한 국내외 정계 인사나 외교가 인맥이 한정적이라 몸값이 천정부지로 뛰면서 고충이 크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1면
아주경제 1면
 
아주경제 2면
아주경제 2면
 
아주경제 3면
아주경제 3면
 
아주경제 22면
아주경제 22면
 
아주경제 23면
아주경제 23면
 
조선일보 1면
조선일보 1면
 
중앙일보 1면
중앙일보 1면
 
동아일보 1면
동아일보 1면
 
매일경제 1면
매일경제 1면
 
한국경제 1면
한국경제 1면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5년 4월 21일자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5년 4월 21일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